검색결과
  • (28)김찬삼 여행기|천둥속의 무서운「스콜」

    「자카르타」에서 며칠을 보낸 다음 유명한 열대식물원이 있는「보고르」로 향하였다. 「버스」를 타고「자카르타」시가를 빠져나가 아름다운 자연속을 얼마쯤 달리고 있을 때였다. 먹구름이 덮

    중앙일보

    1970.05.07 00:00

  • 우리 집의 설계|생활과 꿈을 가꾸는 정원

    한 평의 공간이 귀한 현대의 주생활에서 정원은 하나의 거실로서 개발되고 이다. 태양이 있고 꽃이 피어나고 「바베큐」시설에 고기를 구워먹을 수 있는 또 하나의 「리빙·룸」-. 10평

    중앙일보

    1970.04.01 00:00

  • 지신의 건축「마욘」화산|김수삼 여행기

    달리는 열차 안에서 차창 담화를 나누는 것도 크나 큰 운치이다. 상대편이 이성일 때는 더욱 흐뭇할 밖에. 두어 달 이상이나 홀아비 살림을 하느라니 연애감정이 북바친다고나 할까. 이

    중앙일보

    1970.02.28 00:00

  • 신춘「중앙문예」당선 소설|매일 죽는 사람-조해일 작·김송번 화

    일요일데도, 그는 죽으러 나가려고 구두끈을 매고 있었다. 그의 손가락들은 조금씩 떨리고 있었다. 마음의 긴강이 손가락 끝에까지 미치고 있는 모양이었다. 3년 동안이나 그의 체중을

    중앙일보

    1970.01.01 00:00

  • (226)김장

    김장작업은 고역이기도 하고 즐거운 일이기도 하다. 초겨울로 접어들면서 주부들이『아유, 금년 김장은 또 어떻게 하지』라고 걱정할 때, 손끝은 벌써 노란 통배추의 통통한 촉감을 그리워

    중앙일보

    1969.11.22 00:00

  • 「옛빛」의 의미

    서울의 전천누들은 날로 그 어두운그늘을 넓혀 가고 있다. 공룡같은 철골들, 거만한「빌딩」들. 서울의 고층화는 의연하기보다는 오만무례한 인상이 더깊다. 그 임립한 상이로 후줄근한 시

    중앙일보

    1969.11.12 00:00

  • 「릴케」의 계절

    오늘부터 9월. 나직이 가을의 소리가 들린다. 황금빛으로 늘어진 벼이삭 사이에서, 탐스럽게 갈라지는 밤송이에서, 또는 귀뚜라미의 소리를날라다주는 숲사이에서. 사뿐히 가을의 표정이

    중앙일보

    1969.09.01 00:00

  • (7)장성·백암산

    장성에서 동으로 20㎞를 가면 만학천봉이 녹음에 싸인채 하얀 얼굴을 자랑하는 백암산이 떡 버티고 섰다. 학바위는 일학이 창공을 날다가 유곡의 맑은 물을 보고 내려오는 형체와 같다

    중앙일보

    1969.08.13 00:00

  • (207)-단오 계레의 정서담고 「민속」은 흐른다

    5월 단오는 우리 나라서는 설. 한식, 추석과 아울러 4대 명절로 치는 날이다. 이날도 아침일찍이 여러 가지 특별한 음식을 장만하여 조상에게 다례를 지낸다. 그런데 이 날을 명절답

    중앙일보

    1969.06.19 00:00

  • 영양실조 학우돕자|한줌의 살 모으기

    【대구=김탁명기자】열두살의 어린이가 가난속에 몸져 누워있는 어버이를 돌보고 두동생을 뒷바라지 해가며 자신은 학교에서 달리기선수로 뛰다가 영양실조로 쓰러진 다음 학우들의 도움으로 다

    중앙일보

    1969.05.03 00:00

  • 계엄하의 「파키스탄」을 가다

    「파키스탄」에 척 내려서의 인상을 한마디로 표현하라고 하면 「혼미」 라는 말외 의 적절한 표현이 없을것같다. 계엄령이 선포되지 보름남짓, 외형으로는 꽤「정상」을 되찾은듯하다. 「호

    중앙일보

    1969.04.22 00:00

  • 「자유의 실감」이 승리의 길|여류작가 월남종군기

    다음글은 지난 1월14일부터 27일까지 월남을 방문하고 돌아온 작가 정연희여사의 월남종군기다. 정여사는 그가 교편을 잡고있는 이대생위문단과 함께 월남을 방문했으며 여류작가로서는 처

    중앙일보

    1969.02.04 00:00

  • (1)

    최노인 : 60세와70세 분이 : 26세의 36세 전호 : 7세와 17세 (일명 발돌이) 인찬 : 38세 (육군대위) 할멈 : 58세 이노인 : 64세 (분이의 아버지) 구식 :

    중앙일보

    1969.01.11 00:00

  • (155)세계의 바캉스(1)-한국

    8월의 첫휴일-백만을 넘는 인파가 전국의 산을 찾아, 바다를 찾아 34도의 더위를 쫓기에 진땀을 뺐단다. 중앙일보 해외취재망을 통해 세계의 이름있는 피서지를 찾아 지상「바캉스」를

    중앙일보

    1968.08.06 00:00

  • (10) 한탄강

    한탄강에 녹수가 흐는다. 조국의 허리를 띠처럼 두른 한탄강은 38선의 비극과 함께 흐르고 있다. 줄기를 두갈래로 져한수와 임진수를 쏟아놓는 원류는 휴전선남쪽턱 밑에서 비롯된다. 강

    중앙일보

    1968.07.25 00:00

  • 하루 11명 익사

    주말인 지난달29, 30일 이틀동안 서울 주변엔 뚝섬강변유원지의 4만 인파를 비롯한 10만여 명의 피서인파가 더위를 피해 강변에 몰렸으며 이날 처음 업무를 개시한 「여름경찰서」당국

    중앙일보

    1968.07.01 00:00

  • 요람

    전주고을에 칼찬 훈도가 골목을 찾아 뒤졌다. 학교선생이 「갈치토막」이라고 불리던 흰칼을 차고다닌 시절이었다. 지금 신흥중학교터전에있던 양사제엔 엉겁결에 꼬여든 초립동이들이 「개화바

    중앙일보

    1968.04.27 00:00

  • 좋겠어요, 소년은=김행수

    풀빛 생각이 고와서, 수정(수정)보다 맑은 사슴눈을 가져서 좋겠어요, 소년은. 꽃같이. 한 자락의 바람소리에도 흘려 귀 기울이는데 느릅나무 그늘에 앉는데 눈은 구름 밖 하늘로 두고

    중앙일보

    1968.01.06 00:00

  • 동남아의 진주 싱가포르|싱가포르에서 홍종인

    「사이공」에서 남쪽으로 육지를 따라 「캄보디아」와 태국을 돌아내려가거나 그렇지 않으면 곧장 바다건너 바라보이는 곳이 「말레」반도요 이반도의 남쪽 끝에 달린 조그마한 인구 2백만의

    중앙일보

    1967.11.16 00:00

  • (72) 역사의 고향(33) 함양 상림제

    한국의 농민들은 하늘을 보고 산다. 가뭄이 아니면 장마, 장마가 아니면 조풍수해가 겹치는 땅덩어리 위에서, 그래도 농자지대본이라고 흙을 파며 살고 있다. 조국근대화의 불이 켜지고

    중앙일보

    1967.07.01 00:00

  • 때늦은 토지청구|「뉴·멕시코」의 활극

    미 대륙 남부의 「뉴멕시코」주 「리오·알리바」군에서 최근에 있었던 「현대판 서부활극」의 이야기. 폭양이 내리쬐는 어느 날의 여름 오후, 「리오·알리바」 군 재판소에서는 토지양도자

    중앙일보

    1967.06.20 00:00

  • 6·8 총선 사후수습의 길|여·야의 진단과 처방

    ①이번 선거는 관건이 개입의 선을 지나 공화당선거운동주체가 되었다. 조직적인 폭력, 부녀자들까지 취해 비틀거리도록 한 부패, 대통령과 국무위원이 앞장선 전 공무원의 공화당 불법지원

    중앙일보

    1967.06.13 00:00

  • 군민회소묘 - 다묵

    나무그늘 삼삼오오 구수한 사투리에 싸안는 반가움과 웃고 우는 새소식들 해마다 식군 늘어도 줄어드는 옛얼굴.

    중앙일보

    1967.05.24 00:00

  • 자전거타고 세계일주

    자전거를 타고 세계일주 무전여행중인 「아림·호네거」(31)씨가 61번째로 한국에 들렀다. 「스위스」「쮜리히」태생인 「호네거」씨는 58년에 세계의 다른 나라를 구경하고자 무전여행을

    중앙일보

    1967.03.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