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세기말에 서서] 더불어 사는 삶위해…

    *** 더불어 사는 삶 위해 새 천년엔 새 발상을 20세기를 마감하고 21세기와 새로운 천년을 맞이하면서 회한과 공포의 감정이 우리를 엄습하고 있다. 한편으론 이는 지난 세기를 살

    중앙일보

    1999.04.01 00:00

  • [남진우의 행복한 책읽기] '왜 우리 신화인가'

    ◇ '왜 우리 신화인가'(동아시아) - 김재용.이종주 지음 최근 우리 학계와 독서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 중의 하나는 '신화' 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확산이다. 근대의 출범 이후

    중앙일보

    1999.03.25 00:00

  • 출판인들 아날학 국내접목 활발

    국내에서도 아날학 출판작업이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을 것인가. 랑케의 실증주의 역사철학이 자료의 정확성에 집착하는 것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게 바로 아날학. 아날리스트들은 경제.사회

    중앙일보

    1999.02.09 00:00

  • [행복한 책읽기] 이마무라 히토시 '근대성의 구조'

    □ 이마무라 히토시 '근대성의 구조' (이수정 옮김, 민음사 출간) 모든 철학자가 다 기존 사유의 전복자요 새로운 사유의 창조자인 것은 아니다. 오히려 대다수 철학자는 그 시대에

    중앙일보

    1999.02.02 00:00

  • [99년에 묻는다]미래 문화의 모습은

    전주 한일장신대 김영민 교수는 '문화 (文化) 인가, 문화 (文禍) 인가' 라는 말로 오늘의 문화현상을 풍자했다. 우리 시대의 문화가 어긋난 방향으로 내닫고 있는데 대한 일침 같은

    중앙일보

    1999.01.28 00:00

  • 박진배 '디자인 파워플레이'출간

    흔히 디자인을 근대성의 상징이라고 말한다. 박진배 (한성대.산업디자인학) 교수가 펴낸 '디자인 파워플레이' (보성출판사.1만2천원) 를 펼치노라면 다자인이 단순히 시각적 효과를 넘

    중앙일보

    1999.01.19 00:00

  • [99년에 묻는다]4,여성의 시대는 열릴까

    "오인 (吾人) 의 자매 (姉妹) 되는 청년 (靑年) 여자 (女子)에게 고 (告) 하노라. 제군 (諸君) 은 규방 (閨房) 을 출 (出) 하여 태양 (太陽)에 면 (面) 하여 입

    중앙일보

    1999.01.09 00:00

  • [99년에 묻는다]3.다시 종교의 시대는 오는가

    막 꽁무니를 보이고 있는 20세기는 결코 '종교의 세기' 는 아니었던 것 같다. 서구의 관점에서는 더욱 그렇다. 서구 2천년 문명사 정신의 헤게모니를 틀어쥐고 있었던 기독교는 금세

    중앙일보

    1999.01.07 00:00

  • 아시아적 가치,경제위기 맞물려 학계 뜨거운 공방

    지난해말부터 시작된 경제위기가 아시아 전반에 확산된 가운데 '아시아적 가치' 에 대한 논의가 더 뜨거워지고 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대표 이정호)가 11월 21일 '동아시아 사상

    중앙일보

    1998.12.01 00:00

  • 기든스 교수 '세계화와 근대성' 서울대 강연

    서울대 행정대학원 국제회의장에는 3백여 명의 교수와 학생이 들어찼다. 96년 하버마스 방한 이후 오랜만에 방한한 유럽 최고의 지성 앤터니 기든스 (60) 의 강연을 듣기 위해서다.

    중앙일보

    1998.10.13 00:00

  • [인터뷰]런던 정치경제대학장 기든스 교수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가 21세기를 향한 개혁의 이념으로 내건 '제3의 길' .그 이론적 지주 (支柱) 인 앤서니 기든스 교수가 11일 한국을 찾았다. 런던 정치경제대 (LSE)

    중앙일보

    1998.10.12 00:00

  • '9월의 문화인물'에 한성준…최승희의 스승

    '우리춤에 오직 단 하나인 대가. ' 38년 한 일간지가 꼽은 이 인물은 월북무용가 최승희 (1911~미상)가 아니라 최승희의 스승 한성준 (韓成俊.1874~1942) 을 가리킨다

    중앙일보

    1998.08.11 00:00

  • [90년대 유명건축 답사]건축가들 뜨거운 논쟁 벌일듯

    김낙중.김석철. 김영섭.김영웅.김원. 김인철.민현식.방철린.승효상. 이성관.이일훈.이종상. 조건영.최동규. 건축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귀가 솔깃할 건축가 14인의 90년대 건축이

    중앙일보

    1998.07.17 00:00

  • [인물동정]이광재 한국언론사연구회장

    일간신문 1백주년 기념 학술대회 ◇ 李光宰한국언론사연구회장 (경희대 신방과 교수) 은 한국언론학회와 공동으로 9일 오후1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말언론과 근대성의 재조명' 이라는

    중앙일보

    1998.04.09 00:00

  • [책동네]독일 로볼트사 인물편전시리즈 外

    獨 로볼트社 인물평전 시리즈 ◇ 독일 로볼트 출판사의 인물 평전 시리즈인 로로로 10권이 나와 모두 30권이 됐다 (한길사刊) .이번에는 에라스무스.공자.셰익스피어 등 역사적 인물

    중앙일보

    1998.03.13 00:00

  • '근대를 보는 눈' 전을 보고

    지금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근대를 보는 눈' 전은 우리 근대작가들의 작품세계를 다시 보여주는 전시다. 그간 틈틈이 근대작가들의 작품을 볼 기회가 있었으나 이번처럼 대규모

    중앙일보

    1998.01.06 00:00

  • [새로운 세기를 찾아서]46. 양자강의 물결

    상하이(上海)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황푸(黃浦)강은 양쯔(揚子)강으로 흘러들고 이미 바다가 되어 있는 양쯔강은 다시 대해로 이어집니다. 쌓인 피로 때문에 반쯤은 졸 수밖에 없었지만

    중앙일보

    1997.12.23 00:00

  • [중앙서평]'복잡성과학이란 무엇인가'…옮긴이의 한마디

    복잡성 과학을 한마디로 설명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전통과학과 근대성간의 관계라는 면에서 본다면 복잡성 과학은 '과학의 포스트모더니즘' 이라고 부를 수 있다. 복잡성 과학

    중앙일보

    1997.12.14 00:00

  • 김기영감독 해외 전문가들 깜짝…베를린·칸영화제 잇단 초청

    한국영화 연구가들은 물론 PC통신의 젊은 관객들로부터도 독창적인 스타일의 컬트감독으로 재평가되고 있는 김기영 감독 (77) 이 해외에서도 주목받는 한국감독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중앙일보

    1997.12.05 00:00

  • [발언대]실명제 졸작 당장 없애라…보이는 것만 셈하는 서양이성의 산물

    우리 민족은 지난 1세기동안 오로지 하나의 꿈을 가지고 살았다. '개화' 라는 것이다. 개화란 어둡고 폐쇄된 사회에서 밝고 개방된 사회로 가는 것이다. 나의 부모도 개명한 사회의

    중앙일보

    1997.12.04 00:00

  • 학술지 '거시적 주제' 실종…다양한 내용 불구 사회적 쟁점 안보여

    다양성의 만개 (滿開) 일까. 아니면 사회적 쟁점이 사라진 것일까. 최근 일제히 선보인 겨울호 학술잡지들을 접하며 다가온 느낌이다. 잡지마다 특집을 냈는데 다채로울 만큼 제각각이다

    중앙일보

    1997.11.25 00:00

  • [새영화]차이니스 박스

    '차이니스 박스' 는 홍콩 출신으로 미국에서 활동중인 웨인 왕 감독이 자신과 홍콩의 정체성에 대해 발언하는 영화다. 왕 감독은 중국반환 전후의 홍콩을 잿빛화면을 통해 무기력하고 막

    중앙일보

    1997.10.24 00:00

  • 사회과학 새 패러다임 모색 국제세미나 열려

    20세기말에 도전받고 있는 근대 사회과학과 서양의 이성주의를 점검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 자리가 있었다. 동국대 사회과학연구원 (원장 김진철) 이 지난 17일 동국대 90주년

    중앙일보

    1997.10.21 00:00

  • [새로운 세기를 찾아서]37.일본 가나자와에서…역사와 전통속 새로운 도시

    가나자와대학의 가모노(鴨野幸雄)교수는 지나가는 말처럼 웃으면서 내게 물었습니다. “외과수술을 받고 병원침대에 누워서라도 삶을 연장하는 것이 좋은지,아니면 자택에서 식구들과 함께 조

    중앙일보

    1997.10.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