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북한문화유산답사기]21.조선미술박물관의 겸재

    얼마 전에 열린 한 문화재 관계 세미나장에서 제자뻘 되는 후배가 정감의 표시로 가볍게 던진 인사말이 내게는 약간 당황스러웠다, "선생님은 역시 겸재 (謙齋) 를 별로 높이 보지 않

    중앙일보

    1999.01.09 00:00

  • [한국인의 쉼터 정자]8.밀양 단장면 반계정

    '만리장성' 이 중국을 대표하는 관광상품이라면 한국은 '정자' 를 내세울만 한다. 가히 우리나라는 '정자의 나라' 라고 할 만큼 전국 어디를 가나 정자를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1998.09.23 00:00

  • [한국인의 쉼터 정자]7.정선 구미정

    아직 철 이른 감이 있지만, 강원도 깊은 산골은 초가을의 정취가 곳곳에 묻어난다. 비탈길에 열병식을 하듯 줄지어 서 있는 옥수수와 간혹 눈에 띠는 삼밭들이 높푸른 하늘을 벗삼겠다고

    중앙일보

    1998.09.16 00:00

  • [전시]박행보展

    닥종이는 거칠다. 섬유의 올이 그대로 살아있어 붓이 잘 밀리지 않는다. 종이가 주는 질감도 그렇고 거기에 어울리는 짧은 붓질도 그래 보여 닥종이에 그린 그림은 느낌이 투박하다. 한

    중앙일보

    1998.08.14 00:00

  • [여행]경주 남산

    우거진 송림사이로 뻗어 있는 오솔길을 따라 걷노라면 신라의 유적과 유물을 곳곳에서 만나게 된다.신라 천년의 고도 경주. 신라인에게 남산은 그 자체가 신앙이자 절로 자리했다. 한구비

    중앙일보

    1998.04.23 00:00

  • [북녘산하 북녘풍수]6.개성과 만월대의 풍수 비보책

    다시 만월대로 얘기를 돌린다. 자세히 살펴보니 송악산은 형세와는 달리 그 지기지세 (地氣之勢 : 산 모양이 아니라 성격으로 산의 흐름을 살피는 일)가 만월대 쪽으로 휘어져 있다.

    중앙일보

    1998.03.14 00:00

  • [나를 사로잡은 테마]호랑이상징 연구

    해가 바뀔 때마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십이지 (十二支) 띠동물의 상징성을 밝히는 학술강연회를 갖는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동물원에도 자주 가게 되고 관련자료도 모으기 시작했다. 비

    중앙일보

    1998.01.06 00:00

  • [스크린 기행]19.'태백산맥' 인제 필례

    형제간에도 총부리를 댔던 좌.우익의 갈등, 피의 보복. 아직도 우리에게 그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이념과 사상의 갈등은 어느덧 우리민족의 원죄가 되어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 임

    중앙일보

    1997.10.23 00:00

  • [세계의휴양지]북마리아나연방 로타

    태 평양 북마리아나제도에는 고만고만한 크기의 4개섬 (괌.사이판.티니언.로타) 이 줄줄이 떠있다. 로타는 이들 섬중 가장 작다. 강화도 절반쯤 되는 크기다. 하지만 가장 아름답다.

    중앙일보

    1997.08.07 00:00

  • 14. 장생문일월연. 백자연적. 세한도

    아름다움의 절정은 어디인가? 인간의 손이 만들어가는 아름다움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내가 이런 물음을 갖게된 것은 우리 문화유산이 지니고 있는 헤아릴 수 없는 아름다움의 깊이에 내

    중앙일보

    1997.05.18 00:00

  • 남해 상주리 석각

    금산(경남남해군)의 서남쪽인 두모마을에서 금산 33경의 하나인 부소바위로 오르는 길목에 남해지방의 고대 역사를 밝히는데 귀중한 실마리가 될지도 모를 중요한 유적이 있다.그렇지만 워

    중앙일보

    1997.02.17 00:00

  • 97년 신춘중앙문예 단편소설 당선작 "향기와 칼날"1

    사향처럼 번지는 이 냄새와 고요.무명같은 가을 햇살 속에서 아버지는 술통을 씻고 있다.십수년간 그래왔듯이,통을 거꾸로 세워마지막 술을 한방울까지 씻어 털어내고 플라스틱 바가지에 물

    중앙일보

    1997.01.01 00:00

  • 30.덕유산자락 명덕리-볼거리 먹거리

    장수는 충절의 고장이라 부른다.그 으뜸이 논개의 충절이다. 논개는 선조 7년(1574년) 장수군장계면대곡리 주촌마을에서태어났다.태어난 날이 특이하게 갑술년 갑술월 갑술일 술시라 해

    중앙일보

    1996.10.16 00:00

  • 한가위 달맞이 코스

    보름달은 예부터 기원의 대상이었다.한가위가 되면 마을 동산이나 앞마당등 달맞이하며 복을 비는 곳이 많았다.가족끼리 달맞이하기에 좋은 곳을 소개한다. ▶서울타워=남산 서울타워는 맑은

    중앙일보

    1996.09.18 00:00

  • 31.끝.지리산자락 내촌마을

    춘향이 무덤이 있다.전북남원시주천면호경리 지리산 국립공원 안에정말 번듯한 「만고열녀성춘향지묘(萬古烈女成春香之墓)」가 있는 것이다.하지만 물론 가짜다.60년대 말 「성옥녀(成玉女)」

    중앙일보

    1996.09.07 00:00

  • 26.二水二山의 명당 상주 우무실

    상주 시내 여관에서 잠이 들었는데 느닷없이 수탉의 우렁찬 울음소리가 들린다.내가 분명 어젯밤 도시에서 잠자리를 잡았는데 참으로 괴이쩍은 일이란 생각이 퍼뜩 들어 일어나 시계를 보니

    중앙일보

    1996.06.29 00:00

  • 달아 높이곰 돋아사

    강이 휘돌아 「하회(河回)」라 한다. 넉넉한 낙동강 물이 마을을 에워싸듯 흐르고 있다.물살이 빠르다.우거진 솔숲과 깎아지른 검정 바위벽 사이를 훑으며 놀랄만큼빨리 간다.저 물살을

    중앙일보

    1996.06.15 00:00

  • 달아 높이곰 돋아사

    한아름 둘레의 화강암 처형 틀엔 둥근 구멍이 뚫렸고,구멍 새로 노끈 고리가 늘어뜨려져 있다. 이 노끈 고리에 신도의 목을 끼우고 화강암 처형 바위 앞에 세우는 것이다.노끈의 한쪽

    중앙일보

    1996.06.11 00:00

  • 24.제주 조천마을

    버릇 탓인가.제주 가는 길은 배를 타고 들어가야 실감이 난다.비행기를 타고 가면 마치 서울 시내 어딘가에 들어선 듯해 도무지 남쪽 끝에 와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 탓이다.목포에서

    중앙일보

    1996.05.26 00:00

  • 15.가야산의 최치원

    가야산 해인사 입구의 그리 높지 않은 석벽에는 다음과 같은 고운(孤雲)최치원(崔致遠)의 친필시가 새겨져 있습니다.「첩첩이쌓인 바위계곡을 굽이치며 온 산을 뒤흔드는 물소리 때문에 지

    중앙일보

    1996.03.17 00:00

  • 9.태국 뽀꼼마을

    탐사팀은 우여곡절끝에 지난번 여장 남자들을 만났던 중국과의 국경도시 맹그라로 되돌아 왔다. 맹그라에서 탐사팀은 진짜 반정부군의 전선사령관을 만나 팔자에도 없는 인터뷰를 했다.허리에

    중앙일보

    1995.11.20 00:00

  • 3.麗江 옥룡설산

    호텔을 잡은 탐사대원들은 휴식할 사이도 없이 로비에서 만난 40대의 입심좋은 나시족 출신 관광 안내원으로부터 여강 북쪽 로구 근처에 사는 모소족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흥미가 바

    중앙일보

    1995.07.31 00:00

  • 여천 돌산도 드라이브

    여수에서 여천군 돌산읍 향일암으로 가는 길은 다도해 풍광이 그림 같이 펼쳐지고 섬마을 정취가 물씬 배어나는 곳이다. 돌산은 여수의 남쪽섬이었다.지난 84년 연륙교(돌산대교)가 완공

    중앙일보

    1995.03.09 00:00

  • 철원 학저수지

    강원도춘천시사북면에 있는 용화산(龍華山.878m)은 빼어난 산세에 비해 인적이 드물어 항상 조용한 분위기다.아직도 잔설이있는 계곡의 정취는 보는 이의 마음을 일순 무심무아의 세계로

    중앙일보

    1995.02.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