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박’과 숨은 3000개 보물…이 호텔, 수영만 하면 손해다 유료 전용
「 최윤정 파라다이스문화재단 이사장① 」 그곳에 가본 사람은 대개 비슷한 반응을 보인다. 처음엔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규모에 입을 다물지 못하고, 그다음엔 웬만한 미술관에서
-
30년가량 교사생활 이상욱, 재료 직접 만들어 석판화 선도
━ 황인의 예술가의 한끼 한국현대판화 1세대를 대표하는 이상욱은 오랫동안 휘문고등학교에 재직하며 숱한 미술계 후학들을 양성했다. 그가 살던 충정로 집에는 많은 미술인들이
-
도쿄서 미술 배운 이완석, 공예 통해 한·일 문화 교류 힘 써
━ 황인의 예술가의 한끼 미술활동가 이완석(李完錫, 1915~ 1969)은 충남 공주에서 태어났다. 도쿄의 대성중학교를 졸업한 후 태평양미술학교에 다녔다. 전공이 디자인이
-
백자·청자만 고미술인가…반닫이도 내겐 ‘미스 코리아’
양의숙 한국고미술협회장(예나르 대표)은 “우리 선조가 만든 민속 공예품이야말로 ‘오래된 아름다움’의 전형”이라고 말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제주에서 나고 자란 그는 어린 시절부
-
"반닫이·열쇠패, 이런 게 내겐 '미스코리아'"…진품명품 그녀의 진심
서울 인사동 고미술 화랑 '예나르'에서 만난 만난 양의숙 한국고미술 협회장. '예나르'는 '예술을 나르다'라는 뜻이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제주에서 나고 자란 그는 어린 시절
-
어릴적 소나무 껍질 먹은 이성자, 섬유 기질 판화로 표현
━ ‘예술가의 한끼’ 해방후 한국 미술인 최초로 파리 유학과 작가생활을 한 이성자. 사람도 작품도 프랑스 예술가들 사이에 큰 인기를 끌었다. [사진 이성자기념사업회] 19
-
[부고] 임경식 전 화랑협회장 별세
임경식 임경식(사진) 전 한국화랑협회장이 29일 별세했다. 84세. 고인은 1976년 이목화랑을 개관한 이래 40여년 동안 천경자·권옥연·주태석·백순실·안창홍 등 작가들을 발굴·
-
임경식 전 화랑협회장 별세
임경식 전 한국화랑협회장. [사진 한국화랑협회] 임경식 전 화랑협회장이 29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84세. 임 전 회장은 1976년 이목화랑을 개관해 40년 넘게 화랑을 운
-
뭐든 느린 미술평론가 유준상, 점심 요리 저녁 때야 완성
━ 예술가의 한끼 1992년 2월 국립현대미술관 회의실에서 업무 중인 유준상. 국립현대미술관 1대 학예실장과 서울시립미술관의 초대 관장을 역임한 그는 국내 1세대 미술평론
-
사진작가 임응식, 돈가스 안주에 청주 즐긴 명동 순례자
━ 예술가의 한끼 임응식의 대표작 ‘구직(求職)’, 서울 미도파 앞, 1953년. [사진 임응식 유족] ‘구직(求職)’ 사진으로 유명한 임응식(林應植·1912~2001)은
-
백신만큼 예약 경쟁 치열한 '이건희 명품'전 21일 개막
정선, 1751년, 종이에 먹, 79.2x138.0cm 국보 제 216호.[사진 국립중앙박물관] 단 하루만에 한 달치 예약이 매진됐다. 백신 예약 경쟁만 치열한 게 아니다.
-
카메라로 기록한 시대의 초상
문선호 작가가 1970년대에 촬영한 문화예술인. 사진은 화가 김창열. 다음 달 5일까지 전시된다 [사진 가나문화재단] ‘인물 사진의 거장’ 문선호(1923~1998) 사진가의 개
-
붓 대신 카메라로 사람을 그린 예술가, 문선호 회고전
김창열 화백, 1970년대. 문선호 촬영 [사진 가나아트센터] 장욱진 화백. 문선호 촬영. [사진 가나아트센터] 1975년 천경자 화백. [사진 가나아트센터] '인물 사진의 거장
-
따뜻한 밥·사랑 베푼 ‘화단 신사’…이대원, 일식·화이트와인 즐겨
━ 황인의 ‘예술가의 한끼’ 경성제대 법대 출신의 화가 이대원. [사진 김용철] 미술계를 전혀 모르는 어느 관상가에게 유명 화가들의 사진을 내놓고 물었다. 이들 중에서 가
-
세계 175개 갤러리, 미술품 1만여점 한자리에
제18회 KIAF에서 선보이는 한운성의 ‘라넌큘러스’(130x130㎝, 2018). [사진 이화익] 국내 최대 규모의 아트페어인 한국국제아트페어(Korea Internationa
-
국내 최대 아트페어 KIAF 26일 개막...세계.175개 갤러리 출동
국내 최대의 아트페어 KIAF가 2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막한다. 사진은 지난해 KIAF 현장. [사진 한국화랑협회] 해마다 KIAF는 약 6만명의 관람객을 끌어들이고 있
-
삶도 작품도 ‘심플’했던 장욱진, 오향장육에 고량주 즐겨
━ 황인의 ‘예술가의 한끼’ 화가 장욱진. [중앙포토] 장욱진(1917~90)을 설명하는 숱한 글들은 장욱진이라는 존재의 단순함 앞에서 요령부득이 되고 만다. 그의 삶도
-
호랑이 육포 먹고 자란 권옥연, 흥 나면 미성으로 한 곡조
━ 황인의 ‘예술가의 한끼’ 압도적인 사나이가 있었다. 사천왕상처럼 머리통이 크고 선이 굵은 얼굴에 가슴은 두툼하다. 숱이 많은 머릿결이 부드럽게 흘러내린다. 코트를 입으면 잘
-
천경자 그림 '초원 II' 20억원에 낙찰…작가 최고가 경신
19일 열린 케이옥션 경매에서 20억원에 낙찰된 천경자의 '초원 II'. [사진 케이옥션] 천경자(1924~2015) 작가의 그림 '초원 II'가 19일 열린 케이
-
해질녘 피맛골 ‘빈대떡 신사’ 박수근, 술값은 유화물감
━ 황인의 ‘예술가의 한끼’ 국민화가 박수근 화백이 창작열을 불태웠던 옛집 터에 들어섰던 빈대떡집도 문을 닫았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예술가는 대체로 곤궁하다. 요즘 유행
-
70대 중반의 언니가 80·90대 언니들에게 …
“권(옥연)이 중환자실에 드러누워서 날 보고 그러는 거야. ‘여보 미안해 미안해’. 그래서 내가 덥석 엎드려서 ‘왜 미안해? 뭐가 미안해?’ 그랬지. 갑자기 그렇게 눈 감고 갔어
-
70대 중반의 언니가 80·90대 언니들에게
박영숙 사진전 '두고 왔을 리가 없다'. 이병복 극단 자유 대표의 생전 모습. [사진작가 박영숙] “권(옥연)이 중환자실에 드러누워서 날 보고 그러는 거야.
-
70·80년대 ‘공연 한류’ 이끈 무대미술 1세대 이병복
2015년 이병복 선생(왼쪽)의 출판 기념회에서 축하 인사를 하는 김정옥씨. [사진 청강문화산업대] 이병복 선생님, 지난 29일 90세를 일기로 타계하셨다는 소식을 해외에서 접하
-
자유로운 영혼과 창조적 예술성…‘공연 한류’의 선봉장
1세대 무대미술가 이병복 선생. [사진 한국연극협회] 이병복 선생이 2006년 연극인생 40년을 맞아 개최한 전시회 명칭이 ‘이병복은 없다’ 였지요. 굳이 ‘이병복 없다’고 외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