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삶과 추억] 고대·중세·근대 한국어 연구 기틀 세운 국어학자

    [삶과 추억] 고대·중세·근대 한국어 연구 기틀 세운 국어학자

    이기문 한국어사(史)의 기틀을 세운 국어학자 이기문(사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19일 별세했다. 90세.   고인은 1930년 평북 정주에서 무교회주의 농민운동가 이찬갑(1904∼

    중앙일보

    2020.02.20 00:05

  • 미국 학자 “세종, 이미 600년 전 여성까지 글 읽게 한 업적”

    미국 학자 “세종, 이미 600년 전 여성까지 글 읽게 한 업적”

     ━  즉위 600년 다시 보는 세종    “신 등이 엎디어 보옵건대, 언문(諺文)을 제작하신 것이 지극히 신묘하와 만물을 창조하시고 지혜를 운전하심이 천고에 뛰어나시오나….”

    중앙일보

    2018.10.09 00:02

  • ‘뿌리 깊은 나무’에는 없는 역사 속 한글 논쟁

    ‘뿌리 깊은 나무’에는 없는 역사 속 한글 논쟁

    한글 반포는 조선이 중화(中華)의 지배를 벗어나 독자적인 국가임을 선언하는 일이다. 따라서 명(明)은 조선의 한글 창제와 활용을 결코 용납하지 않으리라.’ SBS사극 에 등장하는

    온라인 중앙일보

    2012.01.23 00:05

  • 도서관 만들자, 6억 모은 홍동면 사람들

    도서관 만들자, 6억 모은 홍동면 사람들

    4일 오후 충남 홍성군 홍동면 운월리 ‘밝맑도서관’에서 이 마을 어린이들이 책을 보고 있다. 현재 이 도서관에는 3개 층에 걸쳐 2만여 권의 책이 있다. [김성태 프리랜서] 충남

    중앙일보

    2011.12.06 01:43

  • [漢字, 세상을 말하다] 嘉俳 가배

    “갠 날씨에 시골 마을 즐거워 떠들썩하네/ 가을 동산의 풍미는 과시할 만하구나/ 지붕엔 넝쿨 말라서 박통이 드러났고/ 언덕의 병든 잎새 사이사이 밤송이가 떡 벌어졌네/ 술잔만 부딪

    중앙일보

    2011.09.14 09:39

  • 嘉俳

    “갠 날씨에 시골 마을 즐거워 떠들썩하네/ 가을 동산의 풍미는 과시할 만하구나/ 지붕엔 넝쿨 말라서 박통이 드러났고/ 언덕의 병든 잎새 사이사이 밤송이가 떡 벌어졌네/ 술잔만 부딪

    중앙선데이

    2011.09.11 01:19

  • [중국을 읽는다] 만주족은 과연 한화(漢化)됐을까?

    [중국을 읽는다] 만주족은 과연 한화(漢化)됐을까?

    『최후의 황제들-청 황실의 사회사』 이블린 S. 로스키 저, 구범진 역 까치, 510p, 25,000원 지금으로부터 일 백 년 전 이웃 중국에서는 청(淸)제국이 무너지고 이 천여

    중앙일보

    2011.01.03 09:52

  • [삶과 추억] 이기백 선생 별세

    [삶과 추억] 이기백 선생 별세

    원로 역사학자 이기백 전 서강대 교수가 2일 오전 5시45분 노환으로 별세했다. 80세. 광복 후 역사학계 1세대로서 한국 고대사와 한국 사학사(史學史) 분야를 대표했던 고인은

    중앙일보

    2004.06.02 18:50

  • [사람 사람] 원로 국문학자들 뭉쳤다

    [사람 사람] 원로 국문학자들 뭉쳤다

    고희를 넘긴 국어.국문학계의 원로 학자 9명이 모여 학술동인지를 펴낸다. 한국 학계 최초로 '70대가 만든 동인지'를 선보이는 주인공들은 이기문(73).김완진(72).안병희(70)

    중앙일보

    2003.03.19 17:54

  • [학계소식]정진영교수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출간 外

    ○…방대한 분량의 지역사 연구서가 나왔다.정진영 교수 (동명정보대.한국사)가 지방사족 (士族) 을 중심으로 조선조 생활사를 조명한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를 최근 출간했다 (한길사

    중앙일보

    1998.04.07 00:00

  • 5백46돌 한글날 맞는 이기문교수(일요인터뷰)

    ◎“나랏말ㅆ·ㅁ 갈고 닦아야죠”/독창·과학성은 세계서 이미 공인/사장된 말살리고 자체 개발해야 이기문교수(63·서울대)에겐 우리글·우리말을 빼면 그 어느것도 안중에 없다. 창제자

    중앙일보

    1992.10.04 00:00

  • 국어학의 주제별 연구성과 집약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는 지금까지의 국어 연구사를 주제별로 집약해 한데 모아놓고 있는 책. 서울대 이기문교수의 회갑을 기념하는 뜻에서 출간된 이책에는 서울대 국어국문학과와 대학

    중앙일보

    1991.02.03 00:00

  • 한국어의 발전방향

    사회 각 분야에서 한국어가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를 검토 분석한 논문모음 『한국어의 발전방향』이 최근 출간됐다. 이책은 이기문·심재기·이정민·소홍렬 등 4인의 학자가 대우재단의 재

    중앙일보

    1990.10.14 00:00

  • 독립신문 한글전용 "서재필박사 스스로 결정"

    독립신문의 한글전용을 결정한 인물은 지금까지 알려져온 주시경 선생이 아니라 서재필 박사라는 주장이 나왔다. 국어학자인 서울대 이기문교수는 최근 주시경 연구소가 펴낸 『주시경학보』제

    중앙일보

    1990.01.25 00:00

  • "남북한 공동 우리말사전 만들자"-서울대 고영근 교수『주시경 학보』논문서 주장

    『「들 모임」가서「첫 물남새」로 만든「찔게」로「곽밥」을 먹고「얼음 보숭이」를 사먹었다.』 금세 이해가 안 되는 이 말은『「소풍」가서「싱싱한 채소」로 만든「반찬」으로「도시락」을 먹고

    중앙일보

    1989.09.21 00:00

  • 「우리말 분류사전」 국내 첫 완간

    우리의 토박이말을 그 쓰임새에 따라 분류한 "우리말 분류사전" 1·2권이 법학과 출신 무명의 재야 국어학자에 의해 국내 처음으로 완간됐다. 서울 신길1동 466의 9에 사는 올해

    중앙일보

    1988.10.17 00:00

  • 실제발음 우선한 부분보완|한글 맞춤법·표준어 개정시안

    맞춤법이나 표준어 규정은 한조항만 변화가 와도 그 파장이 크고 깊다. 24일 국어연구소 (소장 김형규) 가 발표한 한글맞춤법및 표준어규정 개정시안도 이런 이유에서 지대한 관심을 불

    중앙일보

    1987.04.25 00:00

  • 『한국사론』

    지금까지의 한국고고학을 총정리한 방대한 논문집이 나왔다. 국사편찬위원회가 지난 1년간 준비작업 끝에 내놓은『한국사론』(12∼13집) 은 총1천4백여페이지 분량에 모두 36편의 논문

    중앙일보

    1984.01.16 00:00

  • 「시조」원명은 유행의 뜻 담긴「시체 조」|금기창 교수,「시조개념」새 주장

    우리 민족고유의「겨레 시」, 시조에 대한 범국민적인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시조의 개념에 대한 새로운 학설이 나와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금기창 교수(충남대)는『시조의 개념에

    중앙일보

    1982.01.09 00:00

  • 국어학계에 박사 4명 탄생|74년 강신항 박사이후 4년만에|학계에 새로운 바람 기대

    서울대학교를 중심으로 이희승(85)·이?령(73) 이기문(51) 김완진(50) 박사 등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우리 나라 국어학의 한 계보 속에서 최근 화대 중반의 소장국어학자

    중앙일보

    1981.09.09 00:00

  • 「프랑스의」의 한국연구소|「한국학 논문집」 발간|한국학 연구의 태두|「아그노에르」교수 8순 기념으로

    「프랑스」의 한국연구소(Centre d'Etudes Coreenes)가 최근 「유럽」 최초의 『한국학 논문집』(Melangesde Coreanologie)을 펴내 국내외 학계에서

    중앙일보

    1979.10.31 00:00

  • 정약용 원저·김종권 역|아언각비

    이 책은 다산 정약용의 저서로는 자못 특이한 것으로 우리 나라의 언어 문자의 용법에서 그르다고 생각한 것들을 지적한 것이다. 그 내용이 자연·제도·의식주·동식물 등 다방면에 걸쳐

    중앙일보

    1976.11.24 00:00

  • 한국의 속담|이기문 편저, 삼성문화문고(84)

    이교수가 전에 낸 『속담사전』의 자매편으로 엮은 것. 주제별 분류를 해서 읽고 찾기가 쉬워서 좋다. 속담이나 경구를 모으는 작업은 그 자체가 흥미진진해서 가령 구약의 『잠언』이나

    중앙일보

    1976.08.04 00:00

  • 한글-파벌 싸움부터 없애야-한자

    정부는 국어 순화 운동을 범 국민화하고 보다 장기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문교부 안에 직속 상설 기구로 「국어연구원」(가칭)을 설치하는 한편, 문교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어순화

    중앙일보

    1976.05.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