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산학협동 아직은 걸음마 - 정보교류.세제지원등 여건조성시급

    서울대 전기공학부 대학원생들은 지난해 9월학기 삼성반도체의 연구진 10명으로부터'반도체 소자'특강을 받았다.학생들은 이미 2년전부터 LG전자 중앙연구소와 화상강의제도를 운영,지난해

    중앙일보

    1997.04.11 00:00

  • 일본 하기 국제정보大 설립준비위원 권순진 교수

    “한국 대학들과 유학생 교류를 하거나 학점상호인정제를 체결해 우수한 한국학생들을 유치하고 싶습니다.” 2년제 여자전문대에서 4년제 대학으로 개편,98년에 신설되는 일본 야마구치현

    중앙일보

    1997.04.03 00:00

  • 전남대 국내 최초로 국제원격화상수업 실시 밝혀

    외국 대학의 수업을 우리나라 강의실에 앉아 동시에 받는 일이현실로 이뤄졌다. 전남대(총장 盧成萬)는 올 봄학기부터 종합정보통신망(ISDN)으로 미국 텍사스주립대 오스틴 캠퍼스와 연

    중앙일보

    1997.02.15 00:00

  • 대학등록금 인상 억제냐 자율이냐-10%내외 올려야

    .5% 이내로 인상을 억제하라'.10% 정도는 올려야 한다'. 새학기 대학등록금 인상률을 놓고 정부와 대학간 줄다리기가 한창이다.정부와 학부모는 가뜩이나 경제사정이 어려운데 등록금

    중앙일보

    1997.01.11 00:00

  • 서울대는 거대한 고시학원 지적한 최대권교수

    서울대 법대 최대권(崔大權.59.공법학과)교수는 최근 논문. 학부교육과 대학교육'에서 대학교육을 파행으로 몰고가는.주범'으로 사법시험제도를 지목하고 이를 신랄하게 비판했다.특히.서

    중앙일보

    1996.12.30 00:00

  • 대학평가를 마치고

    미국의 시사주간지 유에스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는 대학평가로명성을 얻고 있다.해마다 봄(전문대학원 평가)과 가을(학부 평가)에 공개되는 평가결과는 미국 뿐만 아니라 지구촌의 뉴스가

    중앙일보

    1996.10.08 00:00

  • '작은大學' 봇물 62개校 설립 신청

    최소한의 설립기준만 갖추면 대학.대학원대학(단설대학원)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대학설립준칙이 첫 시행됨에 따라 소규모 대학과 학부없는 대학원대학 설립 신청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중앙일보

    1996.09.05 00:00

  • 대학 이대론 안된다

    21세기 변화의 거센 파도에 맞서기 위해 현명한 항해술을 발휘해야 하는 우리의 교육개혁.그러나 여기엔 우리의 교육에 대한그릇된 의식들이 너무 많아 발목을 잡는다.이제 이 구태의 의

    중앙일보

    1996.08.23 00:00

  • 외국대학 市.道 1개校씩 허용-分校아닌 별도 法人으로

    98년에 수도권을 제외한 시.도별 1개교 범위내에서 외국대학설립이 허용되고 99년부터는 허용범위가 점차 확대된다.또 내년부터는 국내대학이 외국대학과 학위과정등 교육프로그램을 공동으

    중앙일보

    1996.07.31 00:00

  • 중동인 外貌이용 회교권돌며 국적세탁-정수일 위장활동 顚末

    「무하마드 깐수」라는 이름으로 활동해온 고정간첩 정수일(鄭守一.62)은 함경북도 명천출신 농부의 아들로 1934년 중국 옌지(延吉)에서 태어났다. 40~55년 사이 중국 옌볜(延邊

    중앙일보

    1996.07.23 00:00

  • 미래한국 밝힐 교육축제 한마당-미리 가본 교육개혁박람회

    우리 교육의 21세기 미래상과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 현장을한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최초의 교육개혁박람회가 20일 개막,8월2일까지 14일동안 서울 한국종합전시장(KOEX)별관에서

    중앙일보

    1996.07.18 00:00

  • '온라인 교육혁명' 국제회의 결산

    『길이 보인다.』『이미 가진 것을 좀더 적극 활용할 여지도 많다….』 교육공학과 정보통신기술이 한데 어우러지는 교육의 미래와 가능성을 가늠해본 「온라인 교육혁명」 국제회의(6~7일

    중앙일보

    1996.05.09 00:00

  • 서울대특별법 제정 필수다,특혜다-내부개혁이 우선

    특별법의 주요 취지는 서울대의 자율성을 보장하여 연구수준을 향상시키자는데 있다.서울대에 대한 교육부의 비효율적 규제는 당연히 제거돼야 하겠지만, 특별법은 납세자의 추가 부담을 정당

    중앙일보

    1996.04.20 00:00

  • 바둑특례입학 결정-경기대 내년부터 매년 3명씩 뽑아

    경기대가 97학년도부터 바둑특기자를 연간 3명씩 특례입학시키기로 결정했다.경기대 서성남 입시관리과장은 11일 바둑을 어느과에 배정하느냐를 놓고 교육부와 협의한 끝에 99학년도까지는

    중앙일보

    1996.03.13 00:00

  • 평가 방법-학생 학부모등 수요자중심 평가

    지난해 국내 최초로 시행한 「전국대학평가」를 통해 각종 대학교육정보를 공개,선의의 경쟁을 통한 대학의 질적 발전을 선도했던 中央日報는 지난해 12월 독립부서로 발족한 교육팀을 확대

    중앙일보

    1995.09.26 00:00

  • 고려대,해외건설 실습 학점인정-국내대학 첫 도입

    해외건설현장에서 건설업체로부터 실습교육을 받은 후 작성한 대학생의 논문을 학교측이 학점에 반영해주는 「해외건설현장 학점인증제」가 첫 도입됐다.고려대는 徐민석군등 경영학과 3명,무역

    중앙일보

    1995.07.11 00:00

  • 민간 경영전문가 양성촉진 財界 특수대학원 설립추진

    재계가 민간 경영전문가 양성을 위한 특수대학원 설립을 적극 추진중이다. 또 세계적 석학들을 초청한 국제심포지엄을 올해부터 매년 개최키로 하는등 「자본주의 시장경제」창달을 위한 각종

    중앙일보

    1995.05.30 00:00

  • 尹厚淨 이화여대 총장

    창립 1백9주년을 맞는 이화여대가 제2의 도약을 서두르고 있다.무지한 이 땅의 여성들을 일깨우고 교육하는 지난 세기의 역할에서,21세기 첨단과학시대를 주도해 갈 전문여성인력집단의

    중앙일보

    1995.05.22 00:00

  • 專門 경영스쿨 생각할때

    「우리도 로스쿨(전문법과대학원)을 갖자」.96년이 되면 웬만한 대학치고 로스쿨 없는 곳은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각 대학이 경쟁적으로 계획안을 내놓고 있다.이해관계에 따라 마찰이

    중앙일보

    1995.03.23 00:00

  • 서울대교수 89% "연구시설 불만"

    「수재(秀才)뽑아 범재(凡才)만든다」는 자조섞인 비난을 받아온 국립 서울대학교의 교수들은 서울대가 「수재를 뽑아 수재를 사회로 배출」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충분한 연구비 지원

    중앙일보

    1995.03.22 00:00

  • 16.예산과 위상문제

    1월17일 서울대 관악캠퍼스 문화관.총장 선거를 사흘 앞두고열린 후보 간담회에서 거의 모두 후보들은「서울대 위기론」을 들고 나왔다. 『국내 최고의 지성으로 존경받던 위치는 흔들리고

    중앙일보

    1995.03.09 00:00

  • 1위 포항工大,2위 서울大-大敎協 7개大 종합평가 합격

    우리나라 대학 사상 처음으로 실시된 「대학 종합평가 인정제」(綜評制)에서 경북대.부산대.서울대.전남대.전북대.충남대(이상국립).포항공대(사립)등 평가대상 7개 대학이 모두 「인정」

    중앙일보

    1995.03.01 00:00

  • 서울대생 산업현장 꺼린다-산업硏,취업실태 외국大와 비교

    서울대생들은 경상(經商)계열의 경우 고시(考試)보느라,공대생의 경우 병역특례를 받느라 상당수가 취직을 하지 않고 있다. 또 박사학위를 딴 뒤에는 대부분 대학교수가 되기 만을 바라고

    중앙일보

    1995.02.17 00:00

  • 지방大 특성화 바람 거세다

    본격적인 지방화시대 개막과 함께 지방대학에 개혁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교육시장이 개방돼 외국의 유수대학들이 국내에 들어오면 중.하위권이 대부분인 지방대학들의 타격이 가장 클 것

    중앙일보

    1995.01.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