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재독 여류 작곡가 가 본 오페라「심청」

    다음 글은 지난 8월초「뮌헨」국립극장에서 개막된 윤이상 씨의「오페라」『심청』 공연을 직접 본 조병옥 씨(작곡가·이대음대 전임강사)가 본사에 보내온 글이다. 조 여사는 역시 작곡가인

    중앙일보

    1972.09.02 00:00

  • (4)삼천포

    나는 시방 천수를 다한 선풍기 소리를 들으며 흰모래를 뒤엎고 밀려 닥치는 남해의 파도소리랑 고향 생각을 해본다. 인생을 알기 전에 이 고장 산하를 내 것처럼 누볐었으나 그때는 아름

    중앙일보

    1972.07.27 00:00

  • (4)「안케· 패스」엔 갈대만 흔들리고…

    6월18일 「퀴논」에 도착, 노래로도 유명한 맹호사단에 갔었다. 정득만 사단장을 따라서 「헬리콥터」로 약 20분 가량 가다가 아군의 진지가 보이는 낙타의 등허리같이 생긴 고지에 내

    중앙일보

    1972.07.19 00:00

  • 황동규

    지난「5월의 시」에서 잠깐씩 언급한 일이 있는 두 젊은 시인이 이번 달에는 각기 상당량의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박제천 씨는『허수아비가』25편(현대시학)을, 이성부 씨는『저 바위도

    중앙일보

    1972.07.14 00:00

  • (458)경무대 사계(85)|김상래(제자 윤석오)

    이 박사는 앞에 말한 것처럼 수목과 동물을 무척 사랑했는데 취미가운데 낚시이외에 한시 짓기와 붓글씨 쓰기를 빼놓을 수 없다. 하오시간에 틈이 나면 이 박사는 붓글씨를 쓰기도 하고

    중앙일보

    1972.05.13 00:00

  • 어린이날 선물…어머니와 함께 읽는 동화

    꿈 장수 기야이 아저씨네 집은 아주 깊은 산골에 있읍니다. 사방 어느 곳을 들러봐도 나무 나무 나무…나무뿐이고, 사방 어느 곳을 둘러봐도 꽃 꽃 꽃…꽃뿐이고, 그래서 뺑뺑 어지럽게

    중앙일보

    1972.05.05 00:00

  • (31)「직업 아닌 직업」가진 제주의 손성권씨 「한라산안내」 8년

    한라산 등산안내 8년. 내외등산객 8만여명의 등산길을 따라 한라산 숲 속 3만리를 누벼온 손성권씨(42·제주시 어승생산장)는 날마다 험한 산길을 마다 않고 오른다. 누가 시킨 것도

    중앙일보

    1972.04.18 00:00

  • 아마추어이긴 하지만 국전에 입선한 적도 있다는 그 여인이 장난삼아 만들지는 않았을 터이고, 내 생각을 솔직이 얘기한다면 그것은 하나의 돌덩어리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 조각은

    중앙일보

    1972.01.01 00:00

  • 벼 베기

    『얘들아, 너희들 옷 갈아입고 모두들 벼 베러 가자』하고 아버지께서 말씀하시자 우리는 모두 『예』하면서 낫자루를 들고나선다. 우리 집 논농사는 올해가 처음이다. 공무원인 아버지의

    중앙일보

    1971.11.20 00:00

  • (253)명창주변|박헌봉(제자는 필자)

    지금은 남자명창보다 여자명창이 수적으로 월등히 우세하지만 명창의 계보를 거슬러 올라가면 첫 여류명창은 남자 쪽보다 등장연대가 훨씬 뒤진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이조시대의 여류

    중앙일보

    1971.09.09 00:00

  • (229)제16화 한·미 합동첩보비화 「6006부대」(8)

    52년 이른 봄, 특수작전 지점확보를 위해 적지 어화도에 기습 상륙한 합동특공대는 오히려 적의 역기습을 당해 막대한 피해를 보았다. 이곳에서 전회에 소개한 이순희 중사는 죽을 고

    중앙일보

    1971.08.11 00:00

  • (228)제16화 한·미 합동첩보비화「6006부대」(7)적 보급부대 궤멸

    구름이 지나가면 푸른 하늘이 남고 사람이 헤어지면 사랑이 남듯이 전쟁이 끝나면 많은 용사들의 무용담이 가을하늘의 별처럼 숱하게 빛나게 마련이다. 6·25동란 중 국군용사 치고 용감

    중앙일보

    1971.08.10 00:00

  • 풍선을 띄우는 소녀

    우리나라에서 제일 높은 삼일로 빌딩옥상에는 서울 시가지를 한눈에 굽어 볼 수 있는 전망대가 마련되어 있읍니다. 나는 일에 시달려서 몹시 피로하거나 우울할 때면 곧잘 이곳을 찾아와서

    중앙일보

    1971.05.05 00:00

  • 구름과 안개 되어

    왕조 최후의 황태자, 당신의 이름은 은. 어려서부터 영민하다 해서 영친왕이라 했소. 당신은 정유생, 나는 신축생, 당신은 나보다 4년이 위였소. 그리하여 나는 당신의 한평생을 잘

    중앙일보

    1971.04.30 00:00

  • 작렬하는 말의 포화|공화 박정희 후보|여·야 두 후보 연설 통상중계

    친애하는 충청북도 도민 여러분! 뜨거운 햇볕 아래 오래 기다리신 것 같아서 몇 가지 내가 평소에 생각하고 있는 것만 말씀 드리겠습니다. 옛날 얘기입니다. 지금부터 약 3백 80년

    중앙일보

    1971.04.23 00:00

  • 은의 유령

    『세계 최고의 차 「롤즈·로이스」』는 영국인의 긍지를 상징하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그런데 그 회사가 도산했다고 한다. 어쩐지 한 나라의 사양을 보는 것과도 같은 서운한 느낌이 든다

    중앙일보

    1971.02.11 00:00

  • 옛 「주인」다시 맞는 「케산」|신상갑 주월 특파원 재탈환 작전 종군

    본사 주월 특파원 신상갑 기자는 미월 연합군의 케산 기지 재탈환 작전에 한국 기자로서는 처음으로 미군과의 동항을 허락 받았다. 다음은 신 특파원이 미군 수송기 편으로 「케산」까지

    중앙일보

    1971.02.08 00:00

  • (28)-한라산-설령을 수놓으며 백록담에 오른다

    태초엔 산만이 지구에 있었다. 지구는 온통 산뿐이었다. 아니 지구는 하나의 산으로 되어 있었다. 우리는 지금 이 사실을 한라산과 탐라 섬에서 본다. 덩치 큰 황소 한 마리가 들어

    중앙일보

    1971.01.16 00:00

  • 의성·의태어(Onomatopoeia)의 문학적 한계성(상)

    [예술가에게는 예술가다운 감흥이 있고 그 감흥은 표현을 목적하고 설레는 열정이 따릅니다. 이 열정의 도가 강하면 강할수록 그 비례로 전말이 완숙하여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예술이란

    중앙일보

    1971.01.07 00:00

  • 할매의 죽음

    『할매, 일어나아.』 용이가 아무리 흔들어도 할매는 일어날 줄 모른다. 용인 슬그머니 겁이 나서 큰방에 대고 소릴 질렀다. 『엄마, 할매 좀 봐.』 그리고 계속해서 몸을 세게 흔들

    중앙일보

    1971.01.05 00:00

  • 신춘중앙문예당선 시

    다시 톱질을 한다. 언젠가 잘려나간 손마디 그 아픈 순간의 기억을 잊고 나는 다시 톱질을 한다. 일상의 고단한 동작에서도 이빨을 번뜩이며, 나의 몸은 정확해, 허약한 시대의 급소를

    중앙일보

    1971.01.01 00:00

  • 신춘 중앙문예 당선 소설|사당

    그것은 캄캄한 마을에서 들려온 소음에서 비롯했다. 처음에 가위눌린 듯한 젊은 여인의 외마디 비명, 뒤이어 그 소리는 곡성으로 변해가다가 야무진 남자의 질타소리로 뚝 그치고, 문짝이

    중앙일보

    1971.01.01 00:00

  • (112)김찬삼 여행기|「고겡」의 영기 서린 원시 미의 요람

    저 유명한 정열의 화가「고겡」의 영기가 어린「타이티」섬이 꿈과 사랑의 셈을 정작 찾아간다고 하니 여느 때 보다 머 가슴이 설렌다. 새로 보는 땅은 마치 청초한 신부를 맞는 신랑의

    중앙일보

    1970.12.19 00:00

  • 염산세례

    여자의 얼굴에 염산을 뿌린 사건이 있었다. 그「새디스틱」(변태적) 한 행동은 범인의 상식을 절한다. 얼굴은 인간의「심벌」이다.「드라큘라」형의 인간에게 호감을 갖는 사람은 없을 것이

    중앙일보

    1970.12.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