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택희의 맛따라기] 9월은 송이의 계절…캐고 먹어보며 알게 된 송이 이야기

    [이택희의 맛따라기] 9월은 송이의 계절…캐고 먹어보며 알게 된 송이 이야기

    9월은 송이의 계절이다. 백로부터 한로까지 많이 나오고 상강까지 나오기도 한다. 백로인 7일 낮 경동시장에 나가보니 국산 송이가 나오고 있었다. 사진은 지난 2일 찾아간 경북 봉

    중앙일보

    2017.09.08 00:01

  • [체험평가단이 간다] 털매머드는 코끼리보다 더 큰 상아로 적과 싸우고 눈도 치웠대요

    [체험평가단이 간다] 털매머드는 코끼리보다 더 큰 상아로 적과 싸우고 눈도 치웠대요

    여러분에게 ‘매머드’는 그리 낯선 동물이 아닐 겁니다. 원시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에 꼭 등장하는 동물 중 하나니까요.지금 대전 천연기념물센터에선 매머드의 실제 뼈, 피부 등을 볼

    온라인 중앙일보

    2016.11.20 00:01

  • [박정호의 사람풍경] '한국의 파브르' 곤충박사 정부희

    [박정호의 사람풍경] '한국의 파브르' 곤충박사 정부희

    곤충박사 정부희씨가 경기도 가평군 화야산에서 만난 쌍줄푸른밤나방을 카메라에 담고 있다. 높이 755m의 화야산은 얼레지 등 아름다운 야생화가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권혁재 사진전

    중앙일보

    2014.04.26 00:26

  • 생물과목 가장 싫어했어요…그런데 ‘나방 여사’ 됐네요

    생물과목 가장 싫어했어요…그런데 ‘나방 여사’ 됐네요

    허운홍씨(60)가 자신이 직접 기른 나방들로 만든 표본 상자를 보여주고 있다. [최모란 기자]꼬박 10년이 넘도록 전국의 산야를 돌며 채집한 애벌레 468종을 키우며 나방으로 성장

    중앙일보

    2012.10.09 00:16

  • 생각나시나요, 물장군 이분 덕에 다시 봅니다

    생각나시나요, 물장군 이분 덕에 다시 봅니다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이강운 소장이 사육상자안에서 생활하고 있는 물장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곳에는 1000개체의 물장군이 자라고 있다.“물장군은 이름처럼 물속의 최상위 포식자입

    중앙일보

    2012.09.07 01:11

  • 메뚜기 만져봤니?

    메뚜기 만져봤니?

    풀벌레의 계절 가을을 맞아 방아깨비·베짱이 등 풀벌레를 직접 만져보고 관찰할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 서울시 동부공원녹지사업소는 8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서울숲 곤충식물원에서

    중앙일보

    2012.09.07 00:59

  • 구본창 사진미학의 저수지, 유년의 잡동사니를 만나다

    구본창 사진미학의 저수지, 유년의 잡동사니를 만나다

    구본창씨가 여섯 살 때부터 모아온 각종 물건들. 구씨는 “사소한 사물에 관심 갖고 나만의 미의식을 찾는 것이, 내 수집벽의 출발점이자 작품세계의 원천”이라고 말했다. 어린 시절

    중앙일보

    2011.03.28 00:18

  • 북한이 유출한 나비표본 서울로 귀환

    북한이 유출한 나비표본 서울로 귀환

    북한산 나비표본 2000점 중에는 멸종위기인 상제나비가 포함돼 있다. 국내의 또 다른 상제나비표본(윗 사진). 헝가리 자연사 박물관에 소장된것으로 알려진 한라애기밤나방. [중앙포토

    중앙일보

    2010.08.09 03:00

  • 노원구 ‘서울공룡그랜드쇼’ 무료 개방

    노원구 ‘서울공룡그랜드쇼’ 무료 개방

    노원구청이 서울공룡그랜드쇼 덕분에 지역 어린이들의 놀이터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이번 행사에 추가된 체험관과 해양생태관이 아이들의 인기를 끌고 있다. 황정옥 기자 노원구 ‘서울공

    중앙일보

    2009.06.29 15:27

  • [대중] 동물중 가장 많은 種은 딱정벌레

    [대중] 동물중 가장 많은 種은 딱정벌레

    생물학자 중에서 가장 두뇌 회전이 빨랐던 사람으로 홀데인(J B S Haldane)을 꼽는다. 그는 학문적인 업적도 탁월했지만 객담 속에 툭툭 내뱉는 말들의 기발함과 심오함으로 더

    중앙일보

    2004.02.06 17:35

  • 나비수집광 '증권맨' 오해용씨

    고3 가을 무심결에 펼쳐든 『한국나비도감』. 처음보는 빛깔의 날개에 홀딱 반해버렸다. 그날 이후 12년째. 시끌벅적한 객장을 떠나 주말이면 어김없이 나비를 쫓는다. 세월의 무게와

    중앙일보

    2002.04.01 00:00

  • 방학맞은 어린이와 야외나들이를…|식물·곤충 채집 자연을 배운다

    여름방학은 어린이들이 부모를 따라 야외에 나갈 기회가 많은 시기. 어린이들이 도시생활에서 벗어나 산과 바다를 찾을 때는 평소 보지 못했던 식물, 곤충 등을 관찰, 채집해 보도록 하

    중앙일보

    1992.07.22 00:00

  • 곤충채집은 이렇게…한진우교수가 말하는 요령

    여름방학은 곤충채집으로 자연학습의 산경험을 늘릴수 있는 좋은기회. 지난19일부터 서울 교보문고 매장에서 곤충학습자료전시회롤 열고 있는 한진우교사(서울강서여중 학생주임)로부터 곤충채

    중앙일보

    1983.07.22 00:00

  • 다양해진 여름캠프|대상·자격·회비·일정 등을 소개한다

    초, 중, 고의 방학 일정이 1주일정도 앞당겨짐에 따라 단체들마다 방학을 위한다양한 캠프준비가 활발히 일고 있다. 올해 여름캠프행사의 두드러진 특징은 종전의 체력단련과 예능활동 프

    중앙일보

    1982.06.19 00:00

  • (3)잃어버린 방학

    『퇴적암(퇴적암=역암·이암·사암 등-특히 화석이 포함된 것)수집하기』는 이번 겨울방학동안 서울 영등포구 Y국민학교 4학년 자연 과제 중의 하나. 아들의 방학 과제를 훑어본 한 어머

    중앙일보

    1978.01.26 00:00

  • 어린이 방학 지도 중간점검

    「캠프」 등 들뜬 놀이 여행이 대개 지나고 어린이들이 이제는 집에서 방학생활을 하게되는 시기다. 그 동안 산과 바다로 마음껏 뛰놀던 어린이들에게 차분하고 보람있는 방학이 되게 가정

    중앙일보

    1973.08.15 00:00

  • 곤충과 함께 45년|「하은 생물학 상」받은 조복성 박사

    『나에겐 노벨상 못지 않습니다.』45년간 곤충과 벗하면서 지내온 조복성 박사는 12일 받은 하은 생물학 상(제2회)을 이렇게 말한다. 65세로 지금까지 줄곧 지켜온 교단을 떠나면서

    중앙일보

    1970.12.14 00:00

  • 여름방학 어린이 가정지도

    더위와 함께 해마다 다가오는 여름방학이지만 이번 방학은 아동들 모두가 유감없이 즐길수있는 감격적인 여름방학이다. 방학의 본뜻을 잃은채 공부에만 시달려오던 아이들은 중학입시경쟁의 해

    중앙일보

    1968.07.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