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북아역사리포트] 중국에서 사라지는 우리 고대사
중국 국가박물관에 전시된 한국고대역사연표. 발해와 고구려 부분이 빠져있다. 신경진 기자 지난 9월 중국국가박물관이 한·중·일 수교를 기념하는 전시를 하겠다고 하면서 정작 한국
-
[강인욱의 문화재전쟁] 1993년 북한이 찾았다는 단군릉, 왜 평양서 나왔을까
━ 북한과 중국의 고대사 갈등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1970년대 북한은 중국과 치열한 고조선 논쟁을 벌였다. 당시 북한은 고조선의 중심지가 만주에 있었다고 밝혔다.
-
[리셋 코리아] 개천절은 한민족 건국일, 홍익인간 되새겨야
김성곤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오늘은 개천절이다. 개천절은 단군왕검께서 한민족 최초의 국가 고조선의 건국을 축하하는 날이다. 단군이 즉위한 해인 기원전 2333년을 원년으로 하는 단
-
[시론] 더욱 교묘해진 중국의 한국사 왜곡
여호규 한국외대 사학과 교수 중국국가박물관의 ‘한국 고대사 연표 왜곡’ 사건이 최근 한국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지면서 국민적 공분을 일으켰다. 대한민국 국립중앙박물관에 따르면 그
-
[예영준 논설위원이 간다] “교과서 지배하는 자, 미래를 지배한다”…계속되는 역사전쟁
━ 2022 교육과정 한국사 시안 들여다보니 예영준 논설위원 교육부는 지난달 30일 2022년 교육과정 개정 시안을 발표했다. 2025년부터 일선 학교에서 적용되는 새로운
-
"더하라고요? 덜 배워야 합니다" 큰별쌤 최태성의 역사 공부법 유료 전용
역사는 옛사람의 흔적입니다. 수천 년 동안 쌓인 흔적과 현재 나의 삶을 연결해야 합니다. 그래야 역사에 관심이 생기고, 공부할 이유가 생깁니다 지난 1일 만난 최태성 한국사
-
[박정호의 시시각각] 고구려·발해를 지우겠다고…
고구려와 발해 부분을 삭제한 중국국가박물관의 연표(왼쪽). 중국은 한국이 수정을 요구하자 연표가 있던 전시장 벽면을 지워버렸다. [중앙포토,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중국에서 『
-
[강인욱의 문화재전쟁] 6·25 때 소련 스파이 부찐, 2000년 전 고조선 밝히다
━ 한국을 사랑한 소련 정보원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지난 60여년간 고조선은 동아시아 각국의 가장 뜨거운 주제였다. 그런데 러시아를 비롯하여 세계의 거의 절반에 달하
-
"세균부터 우주, 괴물에서 AI까지" 소설 쓰는 과학자, 상상력의 원천은? 유료 전용
제 상상력은 만들어졌어요. 뭘 좀 써봐야 하나, 뭐가 재미있을까 하는 고민을 24시간 하다 보니 세상만사에 궁금함을 가지는 게 삶의 태도로 굳어졌어요. 그게 제 상상력의 원천이라
-
[시론] 김해·춘천 유적 훼손은 국제 망신
김홍남 이화여대 명예교수·전 국립중앙박물관장 문헌에만 의존하는 역사 쓰기가 이제 더는 유효하지 않은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고고학 유적·유물·인골이 발굴되면서
-
[월간중앙] 심층취재 | 미국인 358만 명이 우영우 떼창?…도 넘은 '국뽕 콘텐트'
가짜뉴스로 월 수천만원 수익… 정부·지자체까지 영향 끼쳐 젊은이들이 돈 벌려고 민족주의 콘텐트 상업화, 유튜브 알고리즘에 기생해 확산 미국 워싱턴DC에 358만 명이 모여 ‘우영
-
사실 시진핑은 北보다 韓 먼저 찾아왔다...한·중 8번의 변곡점 [한·중 수교 30년]
"한반도의 평화 통일을 위한 마지막 장애가 제거됐습니다." (노태우 전 대통령, 1992년 8월 한ㆍ중 수교에 즈음한 담화) 1992년 한·중 수교는 노태우 정부 북방 외교의
-
[강인욱의 문화재전쟁] 한국사 시작 알린 고조선 유물, 중국은 왜 부정하나
━ 비파형동검의 비밀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우리가 중·고교 역사 시간에 배운 고조선을 대표하는 청동기 유물이다. 모양이 동아시아 전통 현악기
-
[아이랑GO] 뿌리를 아는 것보다 뭣이 중한디? 흥미진진 역사여행
책과 함께 크는 아이를 바라신다고요? 근데 어떤 책이 좋은지 모르겠다면, 아이랑GO가 준비한 책 이야기를 보시는 건 어떨까요. 아이랑GO가 일주일에 한 번, 마법처럼 아이들이 푹
-
[소년중앙] “역병은 썩 물렀거라” 범 내려온다, 임인년 새해가 열렸다
■ 「 2022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해는 육십간지(六十干支) 중 39번째인 임인년(壬寅年)으로 천간(天干)의 임(壬)이 흑색, 지지(地支)의 인(寅)은 호랑이를 뜻해 '검
-
올림픽 마스코트, 만병통치약…한민족이 사랑한 호랑이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산 호랑이 1988 서울올림픽 유치 직후인 1982년, 올림픽 마스코트 선정은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의 큰 과제 중 하나였다. 조직위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마스
-
올림픽 마스코트부터 만병통치약까지…호랑이의 해, 우리 문화 속 호랑이는?
경북 봉화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산 호랑이. 전민규 기자 1982년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의 큰 과제 중 하나는 올림픽 마스코트의 선정이었다. 조직위원회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마스
-
한반도에서 서역 토용, 황금 보검, 일본 토기가 왜?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고대 한국의 외래계 문물-다름이 만든 다양성’. 유성운 기자 “중국 사람 중 진나라의 난리를 견디지 못하고 동쪽으로 온 자가 많았는데, 마한의 동쪽에
-
차 바꾸려면 연말에 사야…"내년에도 신차 가격 오른다"
서울시내 한 중고차시장에 판매를 위한 중고차들이 주차돼 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신차와 중고차 가격 상승세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뉴스1] 자동차를 바꾸려면 서
-
“단군설화 진짜 주인공은 환웅”
지배층보다 민중의 활약상에 무게를 두고, 장보고 장군 등의 해상활동과 환웅과 단군 이야기를 기록한 일연의 『삼국유사』야말로 한국사의 틀을 잡아주고 근본을 다지게 해준 역사서라는
-
"단군설화의 진짜 주인공은 농경을 가져온 환웅"
최광식 고려대 명예교수.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삼국사기』는 정사, 『삼국유사』는 야사, 이런 인식부터 바꿔야 합니다. 『삼국유사』야말로 한국 역사의 틀을 잡아주고 근본을 다지게
-
[역발상] 고대 한반도는 정치 난민의 '집합소'였다?
뮤지컬 미스사이공. 철망이 쳐진 미국 대사관 안을 향해 살려달라고 외치는 사람들과 매정하게 떠나는 헬리콥터. 전쟁의 비극을 담아낸 뮤지컬 '미스사이공'에서 백미로 꼽히는 장면입니
-
(사)대한사랑·세계환단학회 ‘2021국제학술문화제’ 성황리 종료
지난 6월 21일부터 닷새 동안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진행된 2021 대한국제학술문화제가 성황리에 종료되었다. 이번 학술문화제는 9개의 특수 분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국제행사
-
[소년중앙]단아하고 절제된 아름다움…보고 입고 알수록 빠져드는 한복의 매력
K-팝에 이어 새로운 한류 콘텐트로 떠오른 게 있습니다. 바로 지난해 글로벌 패션 시장을 달군 한복이에요. 아이돌 그룹 블랙핑크부터 BTS까지 K-팝 한류의 주역들이 다양하게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