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간송의 자존심이 우리 문화의 미래다

    간송의 자존심이 우리 문화의 미래다

    미디어 아티스트 구범석씨가 간송의 명품을 초고 해상도 영상으로 재탄생시킨 ‘간송아트컬렉션’의 한 장면. 신윤복의 풍속화 ‘단오풍정’의 그네 타는 여인 얼굴이 선명하다. [사진 신

    중앙선데이

    2016.04.24 00:30

  • [정재숙의 신명품유전] 간송(澗松)의 자존심이 우리 문화의 미래다

    [정재숙의 신명품유전] 간송(澗松)의 자존심이 우리 문화의 미래다

    사진설명: 미디어 아티스트 구범석씨가 간송의 명품을 초고해상도 영상으로 재탄생시킨 ‘간송아트컬렉션’의 한 장면. 신윤복의 풍속화 ‘단오풍정’의 그네 타는 여인 얼굴이 손바닥에 놓고

    중앙일보

    2016.04.23 16:00

  • 간송 큰 손자 결단 … 76년 빗장 푼 은둔의 미술관

    간송 큰 손자 결단 … 76년 빗장 푼 은둔의 미술관

    간송미술문화재단 전인건 사무국장을 만난 곳은 보성고 이사장실이었다. 그곳엔 이마동(1906~81) 화백이 1956년 그린 간송 전형필 초상화가 걸려 있었다. 전 사무국장은 “간송은

    중앙일보

    2014.02.12 00:23

  • 더 가까워진 간송미술관 3월에 동대문서 만나요

    더 가까워진 간송미술관 3월에 동대문서 만나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가 3월 개관한다. 개관전으로 간송미술관 소장품전인 ‘한국 디자인 원형’과 ‘스포츠와 디자인’ ‘자하 하디드: 디자인 공화국 서울’ 등이 마련됐다. [사진 동대

    중앙일보

    2014.01.02 00:17

  • 간송미술관 명품 3년 나들이 계약

    우리 문화재의 보고인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관장 전영우) 명품 80점이 내년 3월 서울 동대문디자인파크(DDP)에서 일반 공개된다. 간송미술문화재단(이사장 전성우)과 서울디자인재

    중앙일보

    2013.11.02 01:15

  • 우리 그림의 정점, 화원을 다시 보다

    우리 그림의 정점, 화원을 다시 보다

    신윤복의 ‘혜원전신첩’ 중 ‘유곽쟁웅’(遊廓爭雄·유곽에서 사내다움을 다투다)의 일부. 장년 사내가 웃통을 벗어 젖히며 예쁘장한 젊은이에게 시비를 거는 모습이 해학적이다. [사진 간

    중앙일보

    2013.10.08 00:52

  • 76년 만에 … 간송미술관 명품들 반가운 외출

    76년 만에 … 간송미술관 명품들 반가운 외출

    내년 3월부터 3년에 걸쳐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디자인박물관에서 열릴 기획전에 나올 간송미술관의 대표 소장품. 혜원(蕙園) 신윤복의 ‘미인도’(왼쪽 사진)와 국보 제70

    중앙일보

    2013.08.09 03:00

  • 간송미술관, 복합문화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간송미술관, 복합문화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국보 제135호 ‘혜원 전신첩’ 30폭 중 한 점인 ‘야금모행(夜禁冒行·부분)’. 통행금지 시간에 몰래 다닌다는 뜻이다. 간송이 1934년 일본에 건너가 당시 최고의 골동품상이었던

    중앙일보

    2013.02.14 03:00

  • 일년에 두 번, 간송미술관 가야 하는 까닭

    일년에 두 번, 간송미술관 가야 하는 까닭

    조선 후기 정조(正祖)대 최고의 화가로 손꼽히는 단원 김홍도의 ‘백매(白梅)’. 절개와 지조, 문인의 품격과 아취를 강조한 기존 사군자에서 살짝 빗겨나 낭만 어린 정취를 함초롬한

    중앙일보

    2011.05.16 00:26

  • 일제에 조선이 갈팡질팡할 때 화가들의 붓끝도 어지러웠다

    일제에 조선이 갈팡질팡할 때 화가들의 붓끝도 어지러웠다

    운미 민영익 ‘묵란(墨蘭)’, 종이에 수묵, 61.3X124.2㎝. [간송미술관 제공] ‘500년 조선왕조가 망할 때 화가들은 무슨 생각을 하며 뭘 그리고 있었을까.’ 일제 침략으

    중앙일보

    2010.05.11 00:25

  • 겸재에게 바친 40년 마침내 그려내다 … 그의 진면목

    겸재에게 바친 40년 마침내 그려내다 … 그의 진면목

    “내 평생이 여기에 들어 있어요.” 간송미술관 최완수 학예연구실장이 ‘겸재 정선 연구 40년’을 결산하는 책 『겸재 정선』(현암사·전3권)을 펴냈다. 그는 “겸재를 만난 건 숙명이

    중앙일보

    2009.10.08 00:41

  • [정재숙 기자가 만난 사람] 미술사학자 백인산

    [정재숙 기자가 만난 사람] 미술사학자 백인산

     이 남자가 앞치마 두르고 국자 든 채 문 열어주는 풍경을 여러 번 봤다.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 봄·가을 정기 기획전에 가면 안내 석에 정물처럼 앉아 있는 남자도 그다. 입은 무

    중앙일보

    2009.01.15 01:44

  • 5월 18일부터 6월 1일까지 서울 성북동 성

    5월 18일부터 6월 1일까지 서울 성북동 성

    오원 장승업 작 ‘오동폐월(梧桐吠月: 오동나무 아래에서 개가 달을 보고 짖다)’, 견본담채/오원 장승업 작 ‘삼인문년(三人問年: 세 사람이 나이를 묻다)’, 견본채색 5월 18일

    중앙선데이

    2008.05.18 01:32

  • 송시열이 싹틔운 '진경 산수화'의 진수

    송시열이 싹틔운 '진경 산수화'의 진수

    조선 후기 진경(眞景)산수의 출현에서 완성까지의 과정을 보여주는 대규모 기획전이 13~27일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에서 열린다. 전시 제목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탄신 4

    중앙일보

    2007.05.08 05:21

  • 전형필 선생 탄생 100돌 간송미술관 특별대전

    전형필 선생 탄생 100돌 간송미술관 특별대전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풍악내산총람’, 조선 풍속화의 대가 신윤복의 ‘월하정인’, 간송미술관의 얼굴 명품인 ‘청자상감운학문매병’.지난주 내 서울 성북동 간송미

    중앙일보

    2006.05.15 20:31

  • 단원은 정조의 전속 사진사 ?

    단원은 정조의 전속 사진사 ?

    ▶ 단원 김홍도가 18만 년을 산다는 "3천 갑자 동방삭"이란 신선의 전설을 그린 "낭원투도(낭원에서 복숭아를 훔치다)". 복숭아를 먹을 때마다 수명이 늘어난다는 중국풍 신선 모습

    중앙일보

    2005.05.09 19:55

  • [분수대] 국보(國寶)의 집

    [분수대] 국보(國寶)의 집

    우리나라 국보 제1호는 남대문이다. 나라의 보배로 그 가치가 남달라 국가가 보호.관리하는 문화재 1등이지만 우리가 정한 국보가 아니다. 일제 강점기인 1934년 조선총독부가 조선

    중앙일보

    2004.10.19 18:43

  • 대중 곁에 선 '추사派'

    대중 곁에 선 '추사派'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제주 유배를 마치고 돌아온 때는 1850년께다. 이미 삼십대에 추사체(秋史體)를 이루고 고증학의 길을 연 이 대학자의 주변에 장안에서 내로라하는

    중앙일보

    2003.05.14 16:52

  • 이 가을 秋史가 있는 풍경을 만나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는 고고한 예술과 넓은 학문의 경지로 조선시대 선비들의 우두머리가 됐던 인물이다. 일반인들은 '추사체'로 그 명성을 기억하고, 지식인

    중앙일보

    2002.10.16 00:00

  • 진경산수 정신 오늘에 되살리다

    "우리 전통문화를 올바로 계승하고자 진력해 오신 가헌(嘉軒) 최완수 선생님의 문하에서 공부해온 지 어언 이십여 년…이 전시회는 간송미술관에서 가헌 선생님을 모시고 연찬해 온 조형

    중앙일보

    2002.10.02 00:00

  • 무엇을 위한 문민정책인가(권영빈칼럼)

    초여름의 훈풍이 불어오는 성북동 언덕위의 간송미술관에서 조선 남종화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해마다 5월과 10월 두차례에 걸쳐 어김없이 열리는 간송미술관의 기획전은 올해가 42회로

    중앙일보

    1992.05.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