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X 윈도로 리눅스 바탕화면 폼나게 꾸미기-3

중앙일보

입력

윈도 메이커 활용하여 바탕화면 꾸미기

1. 작업공간(workspace)
fvwm의 가상 데스크탑과 유사한 개념으로 윈도 메이커에서는 작업공간(workspace)이라는 것이 있다. 이는 서로 관련된 작업들을 하나의 작업공간에 모아서 실행하고, 관련성이 없는 작업들은 다른 작업 공간에 배치하여 작업의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구분하기 쉽도록 화면의 왼쪽 상단에 위치하는데, 아래 그림들처럼 마우스 왼쪽 버튼을 이용해 새로운 작업 공간을 만들 수도 있고, 다른 작업 공간으로 쉽게 이동할 수도 있다. 각 응용 프로그램의 위치를 다른 작업공간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2. 독(dock) 독(dock)은 윈도에서 바탕화면에 단축아이콘을 만드는 것과 비슷하며 화면 오른쪽에 위치한다. 응용 프로그램을 아이콘화하여 숨긴 다음(Hide), 그 아이콘을 독에 가져다 놓기만 하면 간단하게 등록된다. 반대로 독에서 단축아이콘을 삭제할 때는 아이콘을 독에서 끌어내기만 하면 화려하게 아이콘이 산산조각 나면서 사라진다.

7. 인라이튼먼트(Enlightenment)
기존의 X 윈도 관리자들과는 완전히 구별되는 모양과 느낌을 준다. 윈도를 나타내는데 있어서도 단순한 사각형 구도를 벗어나, 타이틀바는 자유형태를 띠고, 화면의 왼쪽에도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 버튼바의 모양 역시 투명한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원이나 다각형 등 자유로운 형태로 만들 수 있어 매우 독특하다. (http://www.rasterman.com/)

8. 윈도 메이커(WM, Window Maker)
애프터스텝과 느낌이 비슷하지만 ‘움직이는(floating) 메뉴’나 아이콘을 끌어다 버튼바에 위치시킬 수 있는 기능, 가상 데스크탑과 비슷한 개념의 ‘작업공간(workspace)’ 기능 등이 눈에 띈다. 아직 버전이 0.x를 벗어나지 못한 신세대 X 윈도 관리자로 안정성은 떨어지지만, 새로운 시도와 아이디어를 즐길 수 있는 재미가 있다. 또한 윈도 95나 98 플러스!의 것과 비슷한 테마(Theme)가 많이 마련되어 있어 아기자기한 화면을 손쉽게 만들 수 있다. 공식 버전부터 국제화가 되어있기 때문에 한글사용이 편리하다. (http://www.windowmaker.org/)

X윈도의 설정

1. 애프터스텝, 인라이튼먼트, 윈도 메이커 등 디자인 중심의 X 윈도 관리자들은 16비트 컬러 이상의 색상을 낼 수 있도록 X 윈도 서버를 설정해야 제대로 된 효과를 맛볼 수 있다. 이는 ‘/etc/X11/XF86Config’ 파일의 ‘Screen sections’에서 ‘DefaultColorDepth’ 항목의 값을 16으로 설정하면 된다.

3. 배경 색 지정
배경 색은 X 윈도의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작업환경’ → ‘배경화면’ → ‘단색’에서 지정할 수 있고, 배경 그림은 ‘작업환경’ → ‘배경화면’ → ‘그림’을 선택한 다음 이미지 파일의 위치를 지정하면 된다.

4. 테마
테마(혹은 스타일)는 윈도 메이커가 이해할 수 있는 어떤 그래픽 포맷(jpeg, tiff, xpm)으로 된 그림들과 색, 무늬, 폰트 등에 대하여 정의한 구성 설정의 집합이다.

① 테마들은 윈도 메이커 테마 홈페이지(http://wm.themes.org/)와 리눅서들의 개성 한마당 홈페이지(http://screen.sarang.net/) 등에서 구할 수 있다. 대개 테마묶음파일들은 *.tar.gz 포맷으로 배포되는데, "[bcbae@blues bcbae]$ tar -zxvf .tar.gz -C ~/GNUstep/Library/WindowMaker" 설치하면 된다.

② 설치된 테마를 화면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윈도 메이커 구성 관리자를 사용한다. 메뉴에서 작업환경-WMMAKER 설정을 선택한다.

③ 테마묶음파일은 위에서 만든 테마파일 외에 무늬들과 배경그림 등을 한데 묶어서 만든다. 테마의 이름을 HOWOW로 정했다면 먼저 HOWOW 디렉토리를 하나 만든다.

④ HOWOW 디렉토리에 가서 무늬(Pixmaps), 배경그림(Backgrounds), 테마파일(Themes) 등을 저장할 하위디렉토리를 추가로 만든다. 다음에는 테마에 대한 소개를 담은 간단한 LSM(Linux Software Map) 파일을 작성하여 HOWOW 디렉토리에 저장한다.

자료제공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