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생뚱맞은 생보사의 ‘역마진’ 하소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0면

나현철
경제부문 기자

생명보험사들의 하소연이 요즘 부쩍 잦아졌다. 저금리에 따른 역마진 우려가 커진 탓이다. “이런저런 비용을 빼면 가입자에게 약속한 금리(예정이율)를 주기가 빠듯하다”고 한다. 실제로 지난 분기까지 적자를 낸 회사가 여럿 나왔다. 이런 곳에선 명예퇴직을 받거나 신입사원 채용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한다. 수익성 악화를 걱정하고 그에 대비하는 건 주식회사가 응당 해야 할 일이다.

 걱정되는 건 그 다음이다. 생보업계에선 벌써부터 “보험료를 올려야 한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금융당국도 5일 “보험료 산출방식을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요모조모 따져봐도 이해하기 어렵다. 생보업계는 최근 몇 년간 해마다 사상 최대 수준의 이익을 내왔다. 적으면 2조원, 많으면 4조원에 달했다. 이 이익의 최대 40%가 배당으로 주주들에게 돌아갔다. 올 들어 좀 어려워졌다 해도 업계 전체가 ‘경영난’을 걱정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역마진이 현실화할지도 의문이다. 생보사들은 2005년 이후 대부분 변동금리 상품을 팔아왔다. 운용수익률이 떨어지면 예정이율을 낮추면 그만이다. 2000년대 초반 연 7% 이상의 확정금리로 계약한 상품들이 있다지만 전체의 10% 정도다.

 역마진을 자초한 측면도 강하다. 생보사들은 2000년대 중반 이후 보장성 보험보다는 연금 등 저축성 보험 판매에 열을 올려왔다. 회사 덩치와 수익을 늘리는 지름길이었기 때문이다. 덕분에 금리 영향을 적게 받는 보장성 보험의 비율이 지난해 절반 아래로까지 하락했다. 이런 상황에서 보험료를 올리겠다는 건 ‘도덕적 해이’나 다름없다.

 얼마 전 연금저축 수익률이 공개됐다. 생보사의 연금보험 수익률은 정기적금에도 못 미쳤다. 저금리에 따른 손실을 고객이 고스란히 떠안은 셈이다. 이런데도 생보사가 보험료를 올리겠다면 자칫 ‘배부른 투정’으로 비칠 수 있다. 꼭 올려야 한다 해도 사업비 인하와 비용 절감 등 업계의 자구노력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