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대책 효과?' 경매시장 두달 연속 상승세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조인스랜드 취재팀기자] 정부의 9.10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아파트 경매시장이 반등 조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부동산 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10월 수도권 아파트의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낙찰가율)은 9월보다 1.1%포인트 오른 74.9%로 집계됐다.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 5월부터 넉달 내리 하락했다가 8월 72.4%에서 9월 73.8%로 오른 뒤 두달 연속 상승세다.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응찰자 몰려

평균 응찰자 숫자도 지난 4월 5.2명 이후 줄곧 5명 미만을 맴돌다 9월 5.3명, 10월 5.6명으로 눈에 띄게 늘고 있다.

9.10 대책으로 취득세 감면이 시작된 9월24일부터 지난달 말일까지 수도권 경매시장을 살펴보면 낙찰가율 74.9%, 평균 응찰자 수 5.61명으로 시행 이전보다 뚜렷하게 회복된 모습이다.

최근 수도권 경매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 현상이다.

지난달 29일 열린 서울 도봉구 창동 북한산한신휴플러스 공급면적 111㎡(32평)의 경매에는 39명의 응찰자가 몰렸다. 이 아파트는 감정가 5억6000만원의 78%인 4억3700만원에 낙찰됐다.

앞서 지난달 24일 감정가 6억2000만원에 나온 서울 강남구 수서동 삼성아파트 60㎡(18평)는 감정가의 82%인 5억660만원에 주인을 찾았다. 이 아파트에도 응찰자가 32명이나 몰렸다.

역시 소형 면적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효자촌아파트 60㎡(18평)도 32명이 응찰한 끝에 감정가(3억5000만원)의 84%인 2억9399만9000원에 낙찰됐다.

지지옥션 하유정 연구원은 "아무래도 9.10대책으로 세금이 감면되니까 실수요자 중심으로 경매시장에 영향을 준 것 같다"며 "실수요자가 찾는 중소형 아파트에 응찰자가 많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고가의 중대형 아파트라도 여러 번 유찰돼 가격이 떨어지면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160㎡(48평)는 3번 유찰된 끝에 지난달 10일 열린 경매에서 36명이 응찰해 감정가 21억5천만원의 66%인 14억1천700만원에 낙찰됐다.

하 연구원은 "대형 아파트는 감면되는 세금 폭도 큰 편이라 가격이 많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수요자들이 관심을 보인다"고 전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