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강의 공유기::바네트 PS-600 [3]

중앙일보

입력


PS-600를 사용한 네트워크 구성도

일반적인 인터넷 공유기와 마찬가지로 PS-600또한 간편한 설치 및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ADSL/Cable Modem으로부터 나온 UTP케이블을 PS-600의 WAN포트에 연결하고, PS-600의 LAN포트와 각각의 컴퓨터에 달린 NIC(Network Interface Card)의 LAN포트를 UTP케이블의 종류와 관계없이, 다이렉트로 연결하면 기본적인 하드웨어의 설치는 끝난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서버 기능은 인터넷 공유기에 있어서 이미 표준화된 기능이다. PS-600 또한 DHCP서버 기능을 지원하여, DNS주소 및 게이트웨이의 복잡한 설정없이, 네트워크 환경의 TCP/IP 항목을 선택한 후 IP 주소와 WINS 구성 탭에서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와 ''WINS Resolution 사용안함''을 체크하면 기본적인 네트워크 설정은 끝난다.

컴퓨터를 재부팅한 후, IP 구성창을 확인하여 정상적인 주소가 할당되지 않았을 경우, 해제버튼을 누른 후 다시 갱신 버튼을 누르면 정상적인 주소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일반적인 인터넷 공유기와 마찬가지로 웹으로 공유기의 IP주소로 접속하여 세부적인 공유기의 설정을 할 수 있다.


LAN과 WAN 및 PPPoE 설정 화면

PS-600의 디폴트 세팅은 PPPoE가 Enable 상태이므로, ADSL 사용자는 User Name과 Password를 설정해야 하며, 케이블 모뎀 사용자는 PPPoE를 Disable해야 하고, 고정아이피 사용자의 경우에는 WAN탭에서 자신의 IP Address와 Gateway등을 설정해야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HCP Server 환경설정에서는 DHCP Server의 작동 유무를 설정할 수 있으며, ADSL이나 케이블 모뎀 사용자는 특별한 설정 없이도 DHCP Server 정보들이 자동으로 갱신된다. 그리고 STATUS 항목에서는 IOS의 버전 및 WAN과 LAN의 설정 사항을 한눈에 볼 수 있다.


DMZ Server 및 Internel Server의 설정 예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및 DMZ서버를 지원하여, PS-600에 연결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PC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틀넷이나 다이얼패드등의 서비스를 모든 컴퓨터에서 받을 수 있다.(IOS의 1.05버전 업데이트 이후 다이얼패드 서비스는 모든 컴퓨터에서 동시에 받을 수 있다.)

Console Mode를 이용한 설정


모뎀 설정에서 Console 케이블이 연결된 COM포트를 선택하면 된다.

네트워크 환경의 문제로 인하여 웹 브라우저나 텔넷으로 인터넷 공유기에 접속이 어려울 경우를 대비하여 Console을 이용하여 PS-600의 세팅을 할 수 있다. Console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공되는 Console Cable로 PS-600의 Console포트와 컴퓨터의 COM포트를 연결한 후 터미널 에뮬레이터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모뎀의 설정부분만 바꿔주면 바로 PS-600에 텔넷으로 접속할 수 있다.


Console을 이용하여 텔넷에 접속한 모습

텔넷에 접속한 후 root와 config을 명령을 이용하여 관리자 모드와 설정모드로 들어가면, PS-600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telnet 명령을 제공하므로 하이텔이나 나우누리 같은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DNS서버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각 통신망의 IP주소를 알아야한다)

참고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는 글자 그대로 내부의 IP가 인터넷 공유기를 통하여 외부로 나갈 경우,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외부 IP로 변환되면서 동시에 Port Address도 같이 변환되어 나가는 것을 말한다. IP Filtering의 개념이며, 방화벽의 역할도 한다.

최재현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