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재건축 또 줄줄이 제동

조인스랜드

입력

[조인스랜드 취재팀기자]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의 정비계획안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소위원회에서 또다시 '퇴짜'를 맞았다.

재건축 조합이 재건축 후 전용 60㎡ 이하 소형주택 비율을 종전 22.4%에서 25.6%로 상향하겠다는 수정안을 제출했지만 서울시 가이드라인인 30%에는 여전히 못 미친다는 이유에서다.

종상향을 추진 중인 강동구 둔촌주공 역시 고층 재건축 땐 인근 주민들 조망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 등으로 안건상정이 보류됐다.

소형은 무조건 30%?

이에 따라 개포주공1단지 조합원들은 31일 서울시를 항의방문할 예정이어서 한동안 잠잠했던 강남 재건축단지 주민과 서울시 간 충돌이 재현될 조짐이다.

30일 서울시에 따르면 전날 시 도시계획위원회 소위원회에서 개포주공1단지 정비계획을 심의한 결과, 소형주택 비율 상향 문제를 매듭짓지 못해 다음 소위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재논의 시기 등을 특정하지 않아 도시계획위원회 본회의에는 언제 상정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개포주공1단지 재건축조합은 이달 중순 소형주택 비율을 25.6%까지 상향한 재건축안을 강남구와 서울시에 제출했다. 또 조합은 서울시 권고를 수용해 36㎡ 단일형이었던 임대주택도 36ㆍ46ㆍ59㎡로 다양화하고, 같은 동에 임대와 분양 주택을 혼합배치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절충안도 이날 소위 문턱을 넘지는 못했다.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강남재건축의 소형주택 확보비율을 신축가구 수 대비 30% 수준을 가이드라인으로 삼고 있다.

같은 날 소위에 오른 강동구 둔촌주공 정비사업계획안 역시 통과되지 못했다. 둔촌주공 재건축조합은 현재 2종에서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종상향을 추진 중이다.

재건축에 잇따라 제동이 걸리자 강남 재건축단지 주민들들의 불만이 커지면서 서울시와의 갈등도 커질 전망이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