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 중소 건설사에 8조원 지원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 건설업계에 8조원의 자금이 지원된다.

 금융위는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발행 확대와 브리지론 부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매입 등을 뼈대로 하는 ‘건설업 금융지원 강화 방안’을 13일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건설사가 발행한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해 은행이 발행하는 P-CBO 물량을 당초 계획된 1조7000억원에서 3조원으로 확대한다. P-CBO는 아파트나 빌딩 등 건설사의 자산을 특수목적법인(SPC)으로 묶은 뒤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으로 신용도를 높여 은행이 발행하는 유동화증권이다. 다음 달 7일 1차 발행을 시작으로 차례로 발행한다. 금융위는 기존 P-CBO 발행에 편입됐거나 발행액을 아직 갚지 못한 건설사도 신규 발행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발행 한도는 중소 건설사 500억원, 중견 건설사 1000억원이다.

 2008년과 2010년 한시적으로 운영됐던 브리지론 보증도 부활된다. 브리지론 보증은 공사대금 채권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신보가 보증하는 제도다. 금융위는 공공기관 공사대금 채권에 한해 업체당 300억원까지 모두 5000억원을 내년 7월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은행이 건설사의 PF 부실채권을 사들이는 ‘정상화뱅크(배드뱅크)’는 2조원의 부실채권을 매입한다. 이달 중 1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먼저 사들이고, 부실이 추가되는 사업장이나 정상화가 늦어지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1조원을 더 사들인다.

 이와 별도로 은행은 자체적으로 올해 말까지 부실화된 PF사업장 지원에 1조7000억원을 투입한다. 채권 행사를 최장 3년까지 유예하는 ‘대주단 협약’도 내년 말까지 1년 연장한다. 17개 시중은행을 비롯해 173개 금융회사가 가입한 대주단 협약이 채권행사를 유예하면 3000억원가량을 지원하는 효과가 생긴다.

 자금을 수혈 받으면 살아날 수 있는 기업에 특별보증을 제공해 자금을 공급하는 ‘중소기업 패스트트랙(신속지원제도)’은 내년 말까지 1년 연장한다. 이를 통해 지원되는 금액은 약 5000억원이다.

 이에 대해 박흥순 건설협회 SOC주택실장은 “상당 부분 나왔던 내용이지만 금융당국이 건설업체의 자금 사정을 이해하고 고민하고 있다는 점에 의미를 둬야 한다”며 “운전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자금을 융통할 수 있는 숨통을 틔워줬다”고 말했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도 “금융권이 책임을 회피하면 건설업이 연쇄부도를 일으킬 정도로 심각한 상황까지 도달했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건설사의 자력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침체에 빠진 수도권 시장의 거래 활성화(수요진작)를 위한 대책이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