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모욕' 한국 여자선수들 징계 위기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뉴시스

한국 배드민턴 대표팀이 중국의 '져주기 경기'를 그대로 따라하려다 망신을 당했다고 일간스포츠가 보도했다. 2012 런던올림픽 배드민턴에서 불거진 '져주기 파문'으로 중국은 물론 한국과 인도네시아까지 세계배드민턴연맹(BWF)의 징계를 받을 위기에 처했다.

AP통신은 1일 '세계배드민턴연맹(BWF)는 런던올림픽에 출전한 배드민턴 여자 복식 4개조 8명을 대상으로 1일 밤(이하 한국시간) 청문회를 열어 징계 여부를 논의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징계 대상 8명은 A조의 져주기 경기를 한 왕샤올리-위양(중국)조를 비롯해 정경은-김하나(한국), C조의 하정은-김민정(한국)조와 멜리아나 자우하리-그레시아 폴리(인도네시아)조다.
세계랭킹 1위인 왕샤올리-위양조는 1일 새벽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정경은-김하나(세계랭킹 8위)조를 상대로 일부러 성의없는 플레이를 해 관중들의 야유를 받았다. 일부러 서브를 네트에다 쳐 실점했다. 이 경기에서 4번이 가장 긴 랠리였다. 이들은 4강전에서 중국 동료 톈칭-자오윈레이(세계랭킹 2위)조를 만나지 않으려고 이기려는 의지가 없었다. 결국 왕샤올리-위양조는 0-2로 패해, 결승까지 팀 동료와 대결하지 않게 됐다.
그 다음 경기로 하정은-김민정조와 멜리아나 자우하리-그레시아 폴리조의 경기가 열렸다. 한국 선수들과 인도네시아 선수들은 나란히 서로 지려고 서브 실수를 하는 등 성의없는 플레이를 따라했다. 이유인즉 이 경기에서 승자가 C조 1위가 돼, 8강전에서 세계랭킹 1위인 왕샤올리-위양조를 만나게 됐기 때문이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배드민턴 복식이 중국과 한국의 서로 져주기 시도로 인해 희극으로 전락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 선수들도 중국의 황당한 플레이를 그대로 따라해 심판으로부터 경고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급기야 한국-인도네시아 경기를 주심은 두 팀 모두 소극적인 경기를 하는 것을 보고 양팀 모두에게 '블랙 카드'를 꺼내들어 위협했다. '블랙카드'가 주어지면 승패에 상관없이 조별리그 탈락의 징계가 내려진다. 블랙카드 위협 이후 두 팀은 정상적인 플레이를 했다. 하정은-김민정조가 2-1로 이겨서 랭킹 1위 왕샤올리-위양조와 8강에서 맞붙게 됐다.
BBC와 가디언 등도 "중국과 한국의 배드민턴 선수들이 경기에 이기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스포츠정신을 훼손시켰다"고 비난했다. 로이터 통신은 "부끄러움을 모르는 배드민턴 선수들이 이익을 위해 일부러 졌다. 이날 두 경기가 올림픽 배드민턴을 혼란에 빠뜨렸다"고 평가했다.
런던올림픽부터 배드민턴에 조별리그가 도입되고, 조 1·2위가 미리 정해진 대진표로 8강 토너먼트를 치르게 돼 '져주기 경기' 가능성이 내포돼 있었다. 조별리그를 치르면서 마지막 경기에서 승패를 선택, 8강 이후 대진에서 유리한 위치를 고를 수 있다.

이를 놓고 외국 선수들은 '절대강자'인 중국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불가리아 배드민턴 대표 페트야 네델체바는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모든 것을 컨트롤하려고 한다. 이번 져주기 경기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중국은 원하는 대로 해온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불가리아 선수 알레시아 자이차베도 "중국은 작년에도 그런 식으로 (승부를 조작해) 20여차례나 자국 선수들끼리의 경기를 피한 적이 있다"고 폭로했다.

한편 독일 남자단식의 마크 츠비블러는 '2008년 토마스컵 대회에서 한국이 더 강한 팀을 피하려고 영국에 일부러 진 일이 있다'며 한국을 비난하기도 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