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재활 이렇게 한다] 14. 소호 '지팜' 최태우사장

중앙일보

입력

인터넷 판촉물 쇼핑몰인 지팜(http://www.gfarm.co.kr)을 운영하는 최태우 사장(52)은 쉰을 넘긴 나이에 소호(SOHO.소사무실재택근무)창업에 나섰다. 20.30대 젊은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 채 벤처보육센터의 5평짜리 사무실에서 꿈을 키우는 崔사장은 올 매출목표를 7억원으로 잡아놓았을 만큼 이미 안정적 경영기반을 구축했다.

◇ 거듭된 좌절〓그는 두번의 실직과 한번의 사업실패를 경험했다.

1991년 대학졸업 후 16년간 엔지니어로 근무하던 그는 대기업을 그만두고 친지의 권유로 판촉물 제조회사를 차렸다. 물건은 그런대로 나갔으나 수금이 잘 안돼 결국 3년반만에 큰 손해를 본 채 문을 닫아야 했다.

사업이 적성에 맞지 않다고 생각한 崔사장은 당시 출범한 갑을통신㈜의 연구소장직으로 재취업했으나 3년만에 외환위기로 다시 실직했다. 쉰에서 딱 한살 모자라는 나이에 퇴직금 한 푼 받지 못하고 내몰린 것이다.

"여기 저기 취직을 부탁했지만 6개월동안 연락이 없더군요. 가는 세월을 넋놓고 바라볼 수는 없어 국립 중앙도서관을 매일같이 다녔습니다. 그곳에서 인터넷의 기초부터 활용까지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

99년 한국능률협회에서 9개월동안 임시직으로 Y2K문제 컨설턴트로 일하면서 온라인 시장의 위력을 실감했다. 판촉물 사업 경험과 온라인의 가능성을 결합하면 뭔가 가능성이 보일 듯도 했다. 여기저기서 5천만원을 모아 사업체 등록을 하고 2000년 1월 한국소프트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서울 서초동 소호창업지원센터에 입주했다.

◇ 시장의 욕구를 읽었다〓판촉물 구매자의 가장 큰 불만은 물건 선택의 폭이 좁다는 것. 이 매장 저 매장을 기웃거리며 시간과 노력을 허비하곤 한다. 崔사장이 과거 판촉물제조업을 하며 절실하게 느낀 점이었다.

"한 사이트에서 다종다양한 물건을 쉽게 검색.비교할 수 있게 하면 승산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많은 제조업체들을 입주시키는 것이 관건이었지요. "

崔사장은 판촉물제조협회를 찾아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결합 필요성을 설명하고, 개별업체들을 일일이 찾아 다니며 입주를 권했다.

처음엔 반신반의하던 업체들은 지난해 7월 사이트를 연지 한달만에 전자상거래로 매출이 일어나자 태도가 달라졌다. 입주업체가 늘면서 상품종류도 많아지고 고객들의 선택폭도 넓어지는 선순환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현재 지팜의 입주업체는 1백40개업체에 판촉물 종류는 6천여개.

지팜의 수주와 발주는 1백% 온라인으로 처리된다. 고객이 어떤 글자를 새겨달라는 주문을 하면 견본을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들어 고객에게 이메일로 반송, 틀림이 없는지 확인한 뒤 제작업체에 주문을 낸다. 홈페이지는 업소.가격.용도.행사별로 판촉물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소비자들이 고르기 쉽게 해놓았고, 온라인 상담 코너도 마련했다.

첫달을 공쳤던 월매출은 둘째달 3백여만원으로 오른 뒤 차츰 증가, 지금은 월 4천만~5천만원 수준에 이른다. 崔사장은 "내년 상반기 보육센터를 졸업할 때는 월매출 1억원을 넘기겠다" 며 의욕과 자신감을 내비쳤다. 02-588-0556. 이메일 :

이> twchoi@gfarm.co.kr

이이현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