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무능력자는 편견 … 고용해 보면 채용 더 늘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장애인 의무고용제가 처음 시행될 1991년만 해도 장애인 고용률은 0.43%였다. 하지만 지난해엔 2%를 넘어섰다. 아직 법적 의무고용률(2.5%)엔 미치지 못하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만 놓고 보면 중간을 상회한다.”

 조종란(51·사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사는 24일 국내 장애인 고용 현황에 대해 “20여 년 만에 놀라운 성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그는 1990년 공단이 설립될 때 합류한 장애인 고용 전문가다. 조 이사는 “20~30년 이상 의무고용제를 실시한 독일·프랑스·일본도 고용률은 우리와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수준”이라며 “이들 국가가 장애인을 우리보다 폭넓게 인정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의 성과는 고무적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여전히 장애인들은 취업이 어렵다고 한다.

 “경증 장애인을 중심으로 고용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사실 의무고용제가 시행될 초기만 해도 장애인을 고용할 준비가 안 된 기업이 많았다. 20대 장애인을 보면 50% 이상이 지적 장애인이자 중증 장애인이다. 장애인 고용의 패러다임을 이 같은 중증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은 중증 장애인을 다수 고용하고 있는데.

 “사실 가장 좋은 건 직접 고용이다. 하지만 직접 고용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장애인이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업무를 뽑아내 대안적으로 자회사를 만든 게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이다. 포스위드의 경우 포스코에서 나오는 작업복 같은 걸 세탁하는 업무를 주로 하는데, 중증 장애인도 할 수 있는 일이다.”

 -기업의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다고 보나.

 “고용 실태를 조사해 보면 장애인을 고용해 본 기업들은 해마다 그 숫자를 늘리더라. 경험이 중요하다. ‘장애의 정도=능력’이란 편견을 없애는 게 중요한데, 이건 겪어 보면 금방 깨진다. 직무 능력과 무관한 부분, 즉 보조인력과 장비 등을 지원해 주는 인프라 구축도 필요하다. ”

조혜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