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에도 소비자 파워..안티사이트 속속 등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근 인터넷으로 아파트 부실시공이나 부당사례를 고발하는 건설회사 안티사이트들이 속속 등장, 주택업계에 대한 소비자들의 감시의 눈길이 강화되고 있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형 주택업체들마다 자사가 시공한 아파트를 비판하는안티사이트가 1-2개씩 개설돼 있어 관련 건설업체들이 이를 예의주시하며 골머리를앓고 있다.

주택업체 안티사이트 확산의 계기가 됐던 것은 지난해 6월 삼성물산[00830]이자사의 아파트를 비난하는 내용을 담은 홈페이지(http://psalter_77.tripod.com)를삭제해 달라며 법원에 낸 비방금지 가처분신청이 기각되면서부터. 당시 법원의 결정은 소비자 운동의 영역이 전자.자동차.생활용품 등 제조회사에서 주택업계로까지 확대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서울 중계 6, 7단지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만든 대한주택공사의 안티사이트(http://www.tusamo.or.kr)는 임대아파트 분양전환과 관련, 건설원가의 공개를 요구하고 부실시공 실태와 하자보수 회피사실 등을 감시, 비판하고 있다.

또 명일동 LG아파트 피해주민협의회가 주축이 돼 만든 LG건설[06360] 안티사이트(http://www.antilgapt.org)는 재건축과정의 투명성과 함께 건설공사 과정에서 객관성과합리성을 요구하며 각종 소송절차와 피해구제 사례 등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전남 광양 금광블루빌 아파트 입주자들은 한국토지신탁 안티사이트(http://user.chollian.net/~moon563)를 만들어 중도금 납부과정에서 피해사례와 부실시공의 증거사진을 게재하고 청와대나 부처 신고센터로 항의성 메일을 보낼 수 있도록 했다.

안티사이트와 함께 아파트 부실시공의 원인을 조명하고 부실시공 여부를 점검할수 있도록 한 상담사이트(http://www.dawn.co.kr)도 등장했다.

지난해 부실아파트로 피해를 보고 있는 입주자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설된 이 사이트에는 현재 꾸준히 하자 및 피해 관련 문의가 들어오고 있으며 이에대한 전문가들의 진단과 함께 토론방 등이 운영되고 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주택이 의식주의 중요한 일부분이라는 점과 건설업체들이 운영하는 홈페이지로는 소비자 신고가 제대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때문에 안티사이트가 활발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