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신용정보업체 국내진출 움직임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해외신용정보업체들의 국내진출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해외업체들이 국내진출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와 업계는 선진기법을 갖춘 이들의 진출여부에 따라 신용정보업계 판도가 급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으며 국내 신용정보업체들도 이에 대비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4일 금융감독원과 업계 등에 따르면 올들어 미국 3대 개인신용정보업체인 T사와 E사가 국내진출을 위해 은행, 보험 등 국내 금융기관들을 수시로 방문, 제휴여부 등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사의 경우는 100여년의 역사를 가진 업체로 미 인구 70% 정도의 개인신용평가를 해주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들어서는 일본 업체들도 한국을 방문해 합작선을 찾기 위해 금융기관고 빈번한 접촉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신용정보업체의 지분 50%이상을 금융기관이 보유토록 하는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규정과 관련해 `금융기관'을 국내 신용평가기관 및 외국기관중 유사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확대키로 해 사실상 이들의 진출을 용인하는 쪽으로 법 개정을 서두르고 있다.

지금까지 해외 신용정보업체들은 금융기관이 50% 이상 지분을 확보해야한다는 규정때문에 국내진출이 사실상 어려웠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까지는 국내진출에 필요한 합작선을 찾기 위해 50%이상 지분을 출자할 금융기관들을 주로 찾아다녔으나 지금은 아예 지사설립 등 직접진출을 위해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미국과 일본 굴지의 신용정보업체 관계자들이 업계나 금융기관과 다각도로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해외 업체들이 진출한 뒤 금융기관이나 백화점 등과 고객공유 등의 제휴를 한 뒤 선진기법을 도입 ,질높은 서비스를 할 경우 국내업체들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고 말했다.

그는 “이들은 신용조회뿐아니라 개인 및 중소기업의 신용정도까지 평가해 금융기관 등에 제공해주는 등 국내업체들에 비해 한차원 높은 서비스를 하고 있다”며 “해외업체들은 만족할만한 데이터를 축적하는데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분석도 있지만 국내업체들은 아직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어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감독원 조사결과 26개 신용정보업체 가운데 40%는 넘는 11개사가 지난달 현재 자본잠식 상태에 있다. (서울=연합뉴스) 임상수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