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동계 '클린턴이 그리워'

중앙일보

입력

부시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연이어 노조에 비우호적인 조치를 취하자 미 노동계가 강경대응으로 맞설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 노동계는 지난해 11월 대선과정에서 앨 고어 민주당 후보를 지지했었는데 부시 대통령이 여기에 대한 보복을 하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미 노동총연맹산업별회의(AFL-CIO)를 비롯한 노조 관계자들은 최근 부시 대통령이 취한 일련의 노동정책들이 노동조합 무력화 의도를 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예로 노조측은 ▶노스웨스트항공의 정비사 노조 파업에의 정부 개입▶노조허용 기업에 대한 정부기관 납품우대제 폐지▶노조 자금의 정치활동 사용규제 시도 등을 들고 있다.

부시 행정부는 노조측의 이같은 반발에 대해 "클린턴 대통령 시절 노동조합에 유리하게 전개돼 온 많은 정책들에 균형감각을 회복시켜 주는 것" 이라며 "지난 대선에서 노조가 특정 후보를 지지한 것과는 아무 상관없는 일" 이라는 입장이다.

재계를 대변하는 미 상공회의소도 당연히 부시 행정부의 논리에 동조하며 "새 행정부가 취한 일련의 조치들은 클린턴 대통령 집권 초기의 상황으로 돌려 놓는 것에 불과하다" 고 주장했다.

노정이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공화당 일각에선 부시 행정부의 반(反)노조적 정책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지난해 선거에서 노조의 지원을 받아 당선된 공화당내 일부 하원의원들의 경우 내년도 중간선거가 걱정되기 때문이다.

뉴욕주의 잭 퀸의원 등 일부 의원들은 이미 그런 뜻을 모아 부시 대통령에게 항의서한을 전달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현재 AFL-CIO에 가입한 산업별 노조는 모두 66개로 노조원은 미 전역에 1천1백만명이 산재해 있다.

뉴욕〓신중돈 특파원jdsh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