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초도 주사 맞으면 담배 생각 뚝 떨어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골초들도 담배를 손쉽게 끊을 수 있는 백신이 개발돼 상용화될 전망이다. 영국 BBC 인터넷판 등은 27일(현지시간) “담배연기의 주성분인 니코틴이 뇌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 담배를 피워도 쾌감을 느낄 수 없게 만드는 니코틴 백신이 개발됐다”며 “이 백신은 쥐를 통한 실험에서 효과가 입증됐다”고 전했다.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 웨일 코넬 의대 로널드 크리스털 박사가 개발한 이 백신을 맞으면 뇌로 들어가는 니코틴의 양이 85%가량 줄어든다. 몸으로 들어온 니코틴이 혈관을 타고 뇌로 들어가기 전에 이를 먹어치우는 니코틴 항체 때문이다. 항체는 신체에 들어오는 바이러스·세균 등 항원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물질을 말한다. 백신 투여 후 간에서 생성되는 이 항체는 니코틴을 항원으로 여기며 지속적으로 공격한다.

 니코틴 항체를 유전자 조작을 통해 몸에 무해하게 만든 다음, 이를 간에서 지속적으로 생산토록 하면 흡연을 해도 니코틴이 뇌에 도달하지 못해 쾌감을 느낄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담배를 아무리 피워도 쾌감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 흡연자들은 담배를 끊게 된다. 크리스털 박사는 “흡연에 의한 만성 니코틴 중독을 치료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혈류를 타고 돌아다니는 니코틴 항체를 통해 니코틴에서 얻을 수 있는 쾌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니코틴에 저항하는 항체를 활용한 금연백신은 이전에도 개발됐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백신과 달리 항체를 몸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항체를 투여한 후 1~2주 정도만 효과가 있었다.

 외신들은 “이번 쥐 실험에서 백신의 안전성이 입증됐으며 다량의 항체를 만드는 것도 확인됐다”며 “앞으로 영장류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을 거친 후 인체에도 테스트를 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