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보다 당기순익이 주가에 더 큰 영향

중앙일보

입력

당기순이익이 매출액보다 해당기업의 주가에 더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좋은 재료 등을 갖고 있는 종목의 주가는 실적악화에도 불구하고 오름세를 보였다.

26일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작년 3.4분기(4∼12월) 실적보고서를 제출한 3월 결산법인 64개사를 대상으로 2분기인 7∼9월과 3분기인 10∼12월의 순익.매출 증가율을 계산한 뒤 실적 공표일전인 지난 14일과 그후 23일 주가를 비교한 결과 이렇게나타났다.

흑자로 전환했거나 흑자를 지속한 32개사는 이 기간에 평균 7.16%의 주가상승률을 보인데 비해 매출이 늘어난 28개사의 주가는 4.02% 상승하는 데 그쳤다.

또 적자전환.적자지속 32개사의 주가는 0.43% 떨어졌지만 매출액이 감소한 36개사는 2.85% 올랐다.

거래소 관계자는 "외형성장의 지표인 매출액보다는 내실경영의 실적을 나타내는당기순이익이 주가에 더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그러나 종목별로는 순이익 실적이 안좋다고 해서 주가가 반드시 떨어지지는 않았다. 실적과 상관없이 종목별 재료에 따라 주가가 움직이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신일산업[02700]의 경우 순이익과 매출액이 각각 77.8%, 27.3% 줄었지만 주가상승률은 35.4%에 이르렀다.

쌍용화재해상보험[00540]은 여전히 순이익에서 적자를 나타냈는 데도 주가는 11.94%, 대우증권[06800]은 적자로 돌아섰지만 11.72% 각각 올랐다. 반면 흑자로 전환한 현대증권[03450]은 5.81% 하락했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