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완전국민경선 반대 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에 반대한다. 지난달 23일 비박(非朴)계 인사들의 오픈프라이머리 요구에 대해 “선수가 룰에 맞춰야지 매번 선수에게 룰을 맞춰 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당내에선 오픈프라이머리로 경선을 치른다 하더라도 박 전 위원장이 대선 후보가 되는 데 큰 문제가 없다는 게 대체적 시각이다. 그런데도 박 전 위원장이 뜻을 꺾지 않고 있는 이유는 뭘까.

 먼저 그의 주변에선 현재의 경선 룰이 당내 공감대를 거쳐 마련한 약속이며 2007년 실시돼 흥행과 대선 승리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적이 있다는 점을 명분으로 내세운다. 현재 룰은 대의원 20%, 당원 30%, 국민선거인단 30%, 여론조사 20%를 반영해 후보를 뽑는다.

 이어 오픈프라이머리를 할 바에야 ‘정당이 왜 필요한가’란 문제제기도 하고 있다. 정당을 중심으로 한 대의민주주의의 근본과 관련된 문제인식이다. 또 동원선거가 일으킬 수 있는 부작용 걱정도 큰 이유다. 지역구별로 투표 결과가 공개되기 때문에 각 지역 당협위원장 사이에서 투표율을 끌어올리려는 ‘충성 경쟁’이 일어날 수 있는데, 그 책임과 부담이 고스란히 박 전 위원장에게 쏠린다는 것이다. 조금이라도 부정 잡음이 불거지면 대선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게 박근혜계의 우려다.

 하지만 박근혜계 일각에선 비박계를 포용하는 모습을 보이지 못하면 ‘1등의 오만’으로 비친다는 고민도 있다. 그래서 일반국민 선거인단 대폭 확충, 전국 순회경선 등의 타협안이 조심스럽게 거론되기도 한다. 또 8월 12일(현지 기준) 끝나는 런던 올림픽 일정을 감안해 당초 8월 21일까지 치러야 하는 경선 날짜의 조정 가능성도 제기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