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G컨소시엄 현대투신에 1조1천억원까지 출자

중앙일보

입력

미국 AIG컨소시엄이 현대투신증권에 최대 1조1천억원까지 출자할 의향이 있음을 우리 정부에 전달해 왔다.

정부의 고위관계자는 31일 "최근 AIG컨소시엄의 국내 대리인과 접촉, 정부와 AIG컨소시엄의 공동출자를 공식 제안받았다"면서 "AIG컨소시엄측은 현대투신증권에 최대 1조1천억원까지 투자할 의향이 있으며 경영권도 확보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AIG측이 이처럼 정부와 공동출자 형태의 출자를 공식 제의해 옴에 따라 AIG측과 본격 협상을 벌일 계획”이라며 “그러나 현대측은 협상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AIG측과의 직접 협상을 부인해 온 정부가 이처럼 공식적으로 AIG측과의 협상을 천명함에 따라 현대투신문제 해결이 급류를 탈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지난해 9월 AIG측이 현대투신증권에 대해 이미 실사를 마친 상태인데다 정부측도 어느정도 실사를 해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지난해 3월 추산된 자본잠식분 1조2천억원 이외의 추가부실 부분을 가려내는데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대증권 경영권 문제와 관련해 그는 “당초 AIG 컨소시엄측이 현대투신증권에 대한 직접투자와 함께 현대증권을 통한 우회투자로 현대증권 경영권을 인수하겠다는 의사도 전달해 왔으나 정부는 일단 현대투신증권관련 부분에 대한 협상에 국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일단 현대측이 맡긴 담보주식을 현대투신증권 자본으로 전입한 뒤 부족분을 출자키로 하고 AIG측과 실제 투입분 규모 등에 대한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해말까지로 돼있던 현대투신증권의 부실금융기관 지정을 다음달 말까지 유예한 점을 감안해 AIG컨소시엄과의 협상을 되도록 내달말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공적자금 출자형식으로 공동출자가 이뤄질 경우 기존 주식의 소각(감자)을 통해 대주주의 책임을 묻는 방안도 검토중이다.(서울=연합뉴스) 임상수.김영묵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