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업계, 공공사업에 눈독

중앙일보

입력

정보기술(IT) 업체들이 잇따라 공공부문 프로젝트 수주에 나서고 있다.

민간부문의 IT투자가 위축되면서 시스템통합(SI) 업체들은 물론 중대형 컴퓨터 및 솔루션.네트워크 등 IT 전분야 업체들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뛰고 있다.

공공사업이 민간사업보다 규모가 크고 대금결제도 확실해 불황기를 넘기기 위해 꼭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LG전자는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 사업을 위해 지난해 말 사업개발팀을 신설하고, 최근 서울 강남구청으로부터 ''강남교통관리센터'' 사업권을 따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올해 각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는 ITS사업은 모두 3천억원 규모" 라며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인력을 신규 투입했다" 고 설명했다.

LG전자는 항공교통관제시스템 (ATC) 사업에도 진출한다는 계획인데, 이 경우 최근 김포공항의 지상감시레이더시스템 등을 수주하며 ATC 사업에 뛰어든 같은 그룹 계열의 LG-EDS시스템과도 경쟁을 벌이게 된다.

한국통신도 최근 정보통신공사업 면허를 획득하고 의료보험 전자문서거래(EDI) 같은 의료정보화와 교육정보화 등 공공부문 시장 공략에 나섰다.

한통은 광주교육정보화 사업(12억원 규모) 에 이어 최근 교육정보화 사업으론 규모가 가장 큰 전남교육청 프로젝트(4백8억원) 까지 수주했다.

위성인터넷 서비스업체인 미래온라인은 전국 40개 사회복지관에 위성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입찰을 따낸 것을 계기로 정보통신부의 ''소외계층 정보화 사업'' 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SI업체인 쌍용정보통신도 최근 8백50억원 규모의 첨단 모의 전투훈련장 계약을 육군과 체결했다. 이는 SI업체의 단일 프로젝트 계약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