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은행+교보생명 금융지주사 가능 점검'

중앙일보

입력

서울증권은 9일 조흥은행은 주거래기업인 쌍용그룹의 구조조정 완결과 금융지주회사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지 않는한 주가 상승은 물론 은행구조조정의 성공도 예상하기 힘들다고 분석했다.

조흥은행은 작년 9월말현재 무수익여신이 4조원으로 공적자금을 지원받은 한빛은행(4조5천900억원)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독자생존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첫번째 전제조건은 기업부문의 부실여신 비중 축소에 있다고 서울증권은 말했다.

그러나 조흥은행은 최소 6천500억원이 될 것이라는 쌍용정보통신 매각대금이 3천억∼4천400억원에 그칠 전망인데다 쌍용그룹의 추가적인 자구책도 기대할 수 없어 조흥은행의 부담이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서울증권은 지적했다.

서울증권은 또 조흥은행은 종금.보험 등 다른 업종 금융회사와 함께 금융지주회사설립을 추진하고 있으나 금융지주회사 설립으로 인한 시너지효과와 가능성을 따질때 유일한 대상은 교보생명 정도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조흥은행-교보생명 금융지주회사는 조흥은행 입장에서는 은행간 합병과정에서 비롯된 규모면에서의 열위를 만회할 수 있고 교보생명 입장에선 자산규모가 배이상 차이나는 삼성생명과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서울증권은 분석했다.

다만 서울증권은 이는 어디까지나 조흥은행의 일방적인 구상일 뿐 교보생명에서는 한번도 공식적인 반응을 보인 적은 없다고 덧붙였다.(서울=연합뉴스) 황정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