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T-2000 서비스 연기論 확산

중앙일보

입력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의 서비스 연기론이 확산되고 있다.

당초 2002년 5월 월드컵 직전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힌 바 있는 한국통신과 SK텔레콤이 상용서비스 시기를 늦추는 것을 검토 중이다.

이같은 연기론은 조기 서비스에 적극적이던 한통이 서비스 연기쪽으로 선회하면서 수면으로 떠올랐다.

이상철 사장은 지난 3일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와 협의해야겠지만 IMT-2000 서비스를 연기할 수도 있다" 면서 "월드컵을 IMT-2000 휴대폰으로 볼 생각은 하지 말아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도 표면적으로는 "서비스 일정에 변화가 없다" 고 하지만 장비 제조업체들의 상황에 따라 상용 서비스 시기가 뒤로 미뤄질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IMT-2000이 당장 수익성이 없고 막대한 자금만 들어간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등 국내업체들도 비동기식 기술을 개발할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연기론을 지지하고 있다.

주무부처인 정보통신부도 서비스 개시 시기는 사업자 자율에 맡기겠다면서 월드컵 때 IMT-2000이 아니더라도 2.5세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다며 유연한 입장이다.

그러나 2001년 하반기까지 비동기식 상용장비 개발을 자신하고 있는 LG전자는 "외국보다 상용서비스가 늦어지면 기술과 가격 경쟁력이 외국에 비해 뒤처지게 된다" 며 반대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