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장관 "과거사 끄집어낸 건 일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동영(얼굴) 통일부 장관은 18일 노무현 대통령의 3.1절 기념사를 '국내용'이라고 한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의 발언에 대해 "사실 관계도 틀렸고, 국가원수에 대한 예의도 아니다"고 말했다. 또 전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의 대일 성명에 대해 일본 측이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강조한 데 대해서도 "과거사를 끄집어낸 것은 오히려 일본"이라고 반박했다.

정 장관은 통일부 간부들과의 간담회에서 "노 대통령은 국내 사정이 어려울 때도 눈치보지 않고, 국내 부담을 무릅쓰고 미래지향적으로 끌고 가려 노력했다"면서 "이를 고이즈미 총리가 국내용으로 치부하는 것은 이치에도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또 "어제 독도 등에 대한 NSC의 성명이 나간 뒤 고이즈미 총리를 비롯한 일본의 반응 중에 '미래지향적인 대응을 할 것'이란 발언이 있었다"며 "한.일 관계가 미래로 가야 한다는 것은 바로 우리의 주장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정 장관은 "한국은 일본이 우리에게 했던 사과가 부족하나마 받아들여 과거사 문제를 끝내려고 했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로 가려 했다"며 "그렇지만 일본은 과거사를 왜곡.은폐하고 정당화하려 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는 마치무라 노부타카 일본 외상의 담화에 대해 "일본 정부가 아시아 국가들에 커다란 손해와 고통을 끼친 역사적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한국 국민의 마음에 깊은 공감을 가지고 임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점에 유의한다"면서도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일본 정부의 행동이며, 정부는 이를 계속 주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독도.과거사 전담기구 만든다=조기숙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정부는 독도 및 과거사 문제 등 한.일 간의 첨예한 현안을 전담할 하나의 독립 기구를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와 열린우리당도 이날 반기문 외교부 장관이 참석한 당정회의에서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는 내용의 입법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러나 주일대사 소환, 일본대사 추방 등의 극단적 카드는 장기적 한.일 관계를 고려해 사용치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

최훈.이영종.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