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북한 로켓 잔해 찾아도 "쉿!" 이유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북한의 장거리 로켓 잔해물 수색 3일째인 15일 군 당국은 아직 이렇다 할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군 당국자는 “13일 세종대왕함이 20개의 잔해물 추락 좌표를 확인해 일대를 수색 중이지만 수심(70~80m)이 깊고 수색 범위가 넓어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잔해를 인양하면 북한의 발사체가 미사일임을 증명할 수 있고, 북한의 기술력을 확인하는 군사적 가치도 상당해 우리 군은 잔해 수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군은 잔해 수색과 관련한 언급을 일절 피하고 있다. 잔해물을 인양할 경우 북한이 소유권을 주장하며 넘겨달라고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석우 인하대 로스쿨 교수는 “북한이 요구할 경우 넘겨주는 게 국제사회의 관례”라며 “그러나 잔해 수거에 들어간 비용을 우리가 청구할 수 있고, 북한이 비용을 지불하지 않으면 넘겨주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비용 문제를 떠나 군은 수색작업 자체를 비밀로 함으로써 갈등의 소지를 없앤다는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수색 작전과 발견 사실, 인양과 관련한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리 군은 잠수함 구조함인 청해진함과 기뢰제거함(소해함) 6척 등 10여 척의 함정을 동원해 수색작업을 펼치고 있다. 함정과 링스 헬기 등에 탑재된 소나를 이용해 잔해물을 찾고 심해잠수정과 해군 해난구조대(SSU) 심해잠수사를 동원해 확인한 뒤 인양한다는 계획이다. 우리 해군은 1999년 남해에 침투하다 격침됐던 북한 반잠수정을 수심 150m에서 건져 올린 적이 있다. 이게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잔해물 수색은 한강에서 바늘 찾기라는 게 당국자들의 설명이다. 국방부 당국자는 “잔해물이 경기도 면적에 이르는 6000㎢에 분산돼 떨어졌다”며 “이 일대를 전면적으로 수색하는 건 쉽지 않다”고 말했다. 로켓이 20개의 조각으로 나눠진 데다 수면 좌표를 확인했더라도 물 속에 가라앉으며 조류를 타고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 서해 바닥은 개흙으로 돼 있어 여기에 박힐 경우 발견 자체가 어려운 조건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