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도 블로그와 연결하면 토론 공간 될 수 있어”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65호 04면

4년 전인 18대 총선 때만 해도 유권자는 공약·지역 개발·정책에 매달렸다. 여야의 총선 공약이 선거 이슈였다. 하지만 19대 총선에선 공약과 정책을 얘기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트위터에선 더욱 그렇다. 대신 개별 사건에 대한 화제가 뜨거운 공방 대상이다. 왜 이렇게 됐을까. 인터넷과 정치의 관계를 연구하는 윤성이(정치외교학) 경희대 교수는 “SNS 탓이라기보다 총선 구도가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마디로 경쟁이 치열한 선거여서 네거티브로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SNS 전문가 윤성이 경희대 교수 인터뷰

-SNS에서 정책과 공약이 사라진 이유는.
“18대 총선과 현재의 총선은 정치 구도가 완전히 다르다. 2008년 총선은 대선 연장선 속에 치러져 한나라당 쪽으로 완전히 기울었다. 그러나 이번 총선은 치열하다. 초반엔 정권 심판론이 강해 완전히 민주당 쪽으로 기울 것 같았다. 그런데 공천 파동 등의 여러 변수로 치열한 접전 상황이 됐다. 복지 등의 분야에서 여야가 차별화될 부분이 많은 선거였다. 하지만 정책이나 공약이 더 부각되지 못한 것은 선거 상황이 작용한 탓이 크다.”

-경쟁이 치열하면 정책 경쟁도 뜨거울 것 아닌가.
“지금처럼 박빙구도가 되는 경우 상대를 공격해 반사이익을 얻는 게 훨씬 더 손쉽고 유리하다. 우리 정당들이 정책에서 한쪽을 압도할 만큼 정책 개발능력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앙정치 이슈에 대해 서로 공격하면서 네거티브 전략으로 간다.”

-트위터의 140자 한계 때문 아닐까.
“물론 트위터는 단문 형식이어서 블로그에 비해 치열하고 깊은 논의를 하기 어렵다. 어떤 사안에 대해 찬성이냐 반대냐, 이편이냐 저편이냐를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의 담론 이상으로 깊이 있는 토론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외국의 경우를 보면 트위터는 웹사이트와 연결되면서 시너지 효과를 낸다. 블로그는 트위터에 링크 되면서 계속 활발하게 유지된다. 유튜브 역시 마찬가지다. 트위터가 담론을 하기에 힘든 공간이지만 다른 매체와의 결합을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문제는 우리 사회에선 누구든 그런 노력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지만….”

-선거 때인데도 트위터에선 왜 기성 정치인에 대한 언급이 자꾸 밀려날까.
“손수조, 김제동 등은 계속 이슈를 만들어내는 사람들이다. 트위터는 그에 대해 반응한 것뿐이다. 과거엔 선거운동이 정당 조직 중심이었다. 이것이 점점 개인 후보자, 심지어 지지자 중심으로 넘어왔다. 당연히 정당 조직원들이 가지고 있는 힘 자체가 과거보다 약해졌다. 선거와 관련된 정보의 소스가 다양해진 측면도 있다. 굳이 대변인 발표를 안 들어도 다른 방식으로도 선거에 대한 정보가 많이 들어오니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없다.”

-대선에서도 그럴까.
“대선은 전국적으로 일대일 구도로 가는 것이다. ‘싸움판의 단일화’로 인해 SNS 영향력은 커질 것이다. 특히 총선은 회고적 투표고 대선은 전망적 투표다. 야권에선 정권 심판론을 계속 끌고 가고 싶겠지만, 대선은 앞으로 5년간 나라를 어떤 방향으로 이끌 것인지를 보고 투표하는 경향이 높다. 총선보다는 공약이나 정책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올 수 있다. 그러나 공약이 상징적 수준이다 보니 정책선거로 확실히 갈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SNS 공간에선 진보와 개혁의 목소리가 일방적으로 우세한데.
“우리 유권자들은 아직도 자기가 지지하는 정당, 싫어하는 정당을 나누는 게 우선 기준이다. 트위터 공간도 양분화돼 있다. 진보는 진보끼리, 보수는 보수끼리 뭉친다. 이 과정에서 상호 토론을 하면서 교감을 나누는 측면보다 편을 더 명확하게 나누고 있다. 하지만 앞으론 비율에서 많은 변화가 있을 거다. 트위터도 밀린다고 생각하는 보수의 대반격이 일어날 거다. 미국에선 보수적인 공화당이 민주당보다 온라인 공간에 있어서 더 강하다. 온라인이 항상 리버럴에 유리한 매체는 아니다. 현실 정치 공간과 상호 작용하면서 온라인 공간의 성격도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