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편익 위한 R&D 어떤 게 좋을까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독거노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시스템, 청각장애인과 대화할 수 있도록 돕는 수화 애플리케이션, 학교폭력 감시 제품. 지식경제부의 ‘국민편익 증진형 연구개발(R&D)’ 사업의 후보에 오른 주요 과제다. 최첨단의 화려한 기술은 아니지만 일반 시민이나 소외계층이 일상생활에서 직접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따뜻한 기술’이다.

 여기에 소통이 더해진다. 2일 지경부는 국민편익 증진 R&D 후보에 오른 과제를 대상으로 대국민 온라인 선호도 조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후보 과제는 모두 40개다. 이를 대상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www.keit.re.kr)에서 6일까지 설문을 받는다. 최종 개발 과제는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반영해 이달 중순 3~6개를 선정할 예정이다.

 국민편익 증진형 R&D는 2010년 장애인 대상 기술개발 사업으로 시작했다. 지경부는 지난해 중앙일보·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과 공동 주최한 ‘테크플러스 포럼’에서 그 대상을 일반 국민으로 넓히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지경부 정양호 산업기술정책관은 “공급자 중심이었던 R&D를 수요자 중심으로 바꿔 국민 모두가 기술의 혜택을 느낄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