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가능 235개사 다음주말까지 자금지원방안 확정

중앙일보

입력

정부는 지난 11월3일 회생가능 판정을 받은 235개 업체에 대해서 다음주말까지 제2금융권을 포함한 전체 채권단 회의를 열어 종합적인 자금지원 방안을 확정하기로 했다.

그러나 만기 연장 등 채무조정에 대한 채권단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해당 기업은 법정관리 등의 방식으로 추가 퇴출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또 다음달중 5조원, 내년 1월에 5조원 등 모두 10조원 규모의 2차 채권형 펀드를 조성키로 했다.

이와함께 기업을 지원하는 은행에 대해서는 한국은행이 유동성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17일 은행회관에서 이정재(李晶載) 재정경제부 차관 주재로 금융정책협의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기업자금사정 완화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회생가능 기업으로 판정된 235개 업체에 대해서는 채권 은행단이 책임지고 지원토록 하고 금융감독원을 통해 그 이행여부를 철저히 점검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다음주말까지 제2금융권까지 포함한 확대 채권단회의를 열어 지원 방안을 확정하기로 했다.

재경부 관계자는 "전체 채권단 회의에서 여신회수 자제, 채무 유예 등의 지원방안을 마련하되 채권단 간의 이견으로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기업은 법정관리에 들어갈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이 자금지원을 받는 쪽으로 합의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2차 채권형펀드를 ▲체신예금.보험 3조원 ▲연.기금 등 2조원 ▲국책은행 등 금융기관 5조원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또 채권형 펀드의 프라이머리 CBO 편입비율을 현행 50%에서 최고 70%까지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고 기업별.계열별 편입한도 역시 자금수요에 맞춰 신축적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정부는 특히 해당 기업의 회사채.CP(기업어음)의 만기에 맞춰 적시에 자금지원이 이뤄지도록 하는 한편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기업체는 기업구조조정투자회사(CRV) 등을 활용해 자금지원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주채권 은행 등이 기업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으면 한국은행을 통해 유동성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재경부 관계자는 "자금 여유가 있는 소매금융 은행으로부터 자금을 흡수해 기업금융 은행을 지원할 계획"이라면서 "한국은행의 총액대출한도 가운데 지방중소기업지원자금 한도를 현재 2조1천억원에서 더 늘릴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는 퇴출기업 협력업체에 대해서는▲특례보증과 연계해 신규자금 지원 규모를 늘리고 ▲할인어음 또는 당좌대출한도를 확대하고 ▲협력업체의 기할인된 상업어음은 일반대출로 전환할 방침이다.

재경부는 내년 1.4분기까지 만기도래하는 회사채 30조원 가운데 4대 그룹 발행회사채 14조원의 경우 자체해결이 가능한 만큼 나머지 16조원에 대해 이런 대책을 치밀히 추진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김문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