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푼테크날러지사의 로렌조 VII [3]

중앙일보

입력

테스트는 2D는 Video Mark 2000을 사용하고. 3D는 Quake 3 Arena(OpenGL), 언리얼 토너먼트(DirectX)와 3D Mark 2000으로 테스트 하였다. 최근 그래픽 카드의 2D성능은 평준화되었다고 생각한다. 다만, 초기 GeForce 2 MX의 제품 중에서 화질에 문제가 있는 제품이 있었지만, 개인적으로 매트록스의 G400 의 화질을 좋아하는 주관적인 입장에서도 별 차이를 느끼지 못했다. 테스트에 사용된 드라이버는 가장 최근 것인 Detonator 3 v6.47을 사용하였다.

벤치마크 시스템 구성
CPUAMD Athlon 750Main boardVIA K7T PROMemorySAMSUNG 128M PC100MonitorLG T17XRSound없음Video DrivernVIDIA Detonator 3 (6.47)OS한글 Windows 98SE

3D MARK 2000
비교대상으로 잡은 제품은 GeForce 256 DDR 제품이다. 물론 같은 GeForce 2 MX 칩셋을 한 제품을 비교대상으로 해야 하겠지만, 기존 GeForce 2 MX의 제품들의 성능은 평준화되어 가는 경향이 크고, 단순히 GeForce 2 MX 칩셋의 카드 중에서 차이를 두는 것보다는 가격적인 부분에서 두 배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GeFroce 256 DDR과 로렌스VII가 얼마만큼의 성능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저가형 제품답게 32비트 모드에서는 점수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지만, 16비트 모드에서는 차이를 점점 줄이고 있다. 이만한 성능이면 돈이 궁한 게임 매니아들에게 충분한 메리트를 가지고 있다.

QUAKE 3

3D MARK 2000의 결과와 상당히 유사하다. 저사양 유저들이 즐겨 선택하는 FASTEST모드(모든 픽셀들이 싱글 패스로 처리되는 모드)세팅의 1280x1024 모드에서는 GeFroce 256 DDR 과 대등한 모습을 보이지만, 물론,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1024x768 모드의 해상도에서 원활히 할 수 있는 모습을 보인다. 물론 Normal, High Quality 모드로 들어서면 급격한 프레임레이트 저하가 보인다.

언리얼 토너먼트

퀘이크가 OpenGL 모드를 테스트한다면 언리얼은 D3D에서의 성능을 테스트한다. GeFroce 256 DDR의 성능을 가까스로 따라잡는 듯한 모습이다. 물론 성능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이 정도 성능이라면 가격을 봤을 때 어느 것을 선택하여야 하는지 충분하다. 테스트에서는 1280x1024 32비트 해상도에서 30프레임을 겨우 넘는 성능이 아쉽지만, 1024x768 16비트 해상도에서는 50프레임을 넘는 결과가 나왔다.

2D VIDEO MARK 2000

도표 상으로는 그 차이가 커 보이지만, 수치상으로는 37정도의 차이밖에는 없다. 그만큼 2D에서는 그래픽카드간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도 된다.

김현
자료제공: pcBee (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