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산청호국원, 6년 진통 끝 첫삽 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주민들의 반대로 오랜 기간 난항을 겪은 국립 산청호국원이 6년 만에 첫 삽을 떴다.

 재향군인회는 21일 오전 경남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 산청호국공원 부지에서 박세환 회장, 이재근 산청군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착공기념 안전기원제’를 열었다. 국립 산청호국원은 남부권(경남·부산·울산)에 거주하는 참전용사와 장기복무 제대군인 등 국가에 헌신한 유공자의 유해를 안장하기 위해 재향군인회가 조성한다. 56만㎡의 부지에 5만위를 안치할 수 있는 야외봉안당, 현충관, 현충문, 현충탑 등이 들어선다. 재향군인회는 총 578억원을 들여 2014년 10월 말까지 준공할 계획이다.

 박세환 회장은 “첫 삽을 뜨는 오늘이 있기까지 도와주고 양보해준 산청군민들께 감사드린다”며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한 호국영령들이 영면할 수 있는 쾌적한 묘역조성을 통해 호국성지이자 안보공원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산청호국원이 착공하기까지 과정은 순탄치 못했다. 국가보훈처는 2006년 3월 산청군에 도시계획시설(봉안시설) 결정 제안서를 제출했으나 산청군 도시계획위원회는 주민반대 등을 이유로 수차례 심의 끝에 2009년 7월 부결했다. 주민들도 투쟁위원회를 구성, 산청군과 경남도를 항의방문하는 등 조직적인 반대투쟁을 벌였다.

 재향군인회는 경남도에 행정심판을 청구했고 2009년 말 ‘산청군 도시계획위원회의 결정은 부당하다’는 결정을 받아 호국원을 지을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후 협의 끝에 주민들을 설득해 합의를 이끌어냈다.

위성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