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마련 ‘총선 전후’ 아니면 ‘하반기’

조인스랜드

입력

[황정일기자] 내 집 마련, 언제 어디서 해야 할까. 주택 수요라면 언제나 고민하는 문제다. 집이 있는 유주택자도 이 문제에서 모두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33㎡대, 66㎡대에 주택에 있는 3~4인 가족은 언제쯤 큰 집으로 이사를 가야 할지 고민한다. 이른바 ‘갈아타기’ 시점을 두고 고민하는 것이다.

사실 실수요라면 현재의 가계 소득과 자산, 직장과 아이들 학교 등을 고려해 언제든 내 집 마련에 나서면 된다. 집값이 앞으로 오르던 말던 신경쓰지 않는다면 말이다.

하지만 어디 그게 말처럼 쉬운가. 수억원짜리 집을 샀는데 집값이 뚝뚝 떨어지면 ‘하우스푸어’(집 가진 거지) 신세로 전락할 수 있다. 그래서 타이밍을 잘 잡아야 한다. 올해는 언제가 내 집 마련 타이밍일까.

DTI 규제 완화하나

총선·대선이 한꺼번에 치러지는 올해 내 집 마련 시기는 크게 두 번으로 나뉜다. 우선 총선을 앞두고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 시장의 핵심 규제가 완화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여당에서 DTI와 보금자리주택 공급 등 그동안 주택 수요 심리를 억눌렀던 규제 폐지 또는 완화를 들고 나왔다. 정부도 부동산 활성화 정책을 내놓기 위해 관련 부처와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

서울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 투기지역 해제는 거의 합의점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취득세 감면 부활 논의도 진행 중이라고 한다.

전셋값이 계속 오르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DTI가 완화되면 아무래도 주택 거래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시장에 쌓인 급매물을 골라 잡을 수 있는 지금이 올해의 첫 번째 내 집 마련 타이밍이다.

매수세가 붙으면 집주인들이 호가를 올리거나 매물을 거둬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타이밍은 하반기다. DTI 규제가 완화되더라도 시장을 좀 더 관찰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대외 경제 상황이 안 좋은 데다 서울시의 뉴타운 출구 전략 등 악재도 상당하다. 때문에 DTI 완화 이후 수요 심리가 반짝하고 말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DTI 완화 이후 시장을 좀 더 관망하다 하반기쯤 내 집 마련에 나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내 집 마련은 어디에

서울에서는 재개발·재건축 신규 분양 물량이나 조합원 입주권 급매물이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단지는 기본적으로 교통·교육 등의 기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주거환경이 좋은 편이다.

분양을 앞둔 재개발·재건축 단지는 특히 서울시의 출구 전략으로 희소성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수요가 풍부한 중소형 위주로 관심을 갖는 게 좋다.

신규 분양 물량은 분양가 상한제로 과거처럼 분양가가 시세보다 턱없이 비싸지도 않고 집값을 공사 기간(보통 3년) 동안 나눠 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조합원 물량은 분양 물량보다 층·향·동이 좋지만 목돈이 든다.

수도권에서는 신도시 입주 단지 급매물이 괜찮아 보인다. 김포 한강신도시나 수원 광교신도시, 남양주 별내지구 등지다. 아직은 기반 시설 부족으로 일부 단지에서는 분양가보다 저렴하게 살 수 있는 물건도 나온다.

이 같은 급매물을 매입해 입주하는 것도 방법이다. 어차피 기반시설 등 편의시설은 입주 2~3년은 지나야 갖춰지기 때문이다. 분당·일산신도시 등지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굳이 지금 시점에서 기반시설 여부 등을 신경쓸 필요는 없다. 2~3년 뒤 기반시설이 갖춰지고 예정됐던 각종 개발 계획들이 완성된다면 집값이 오를 여지도 생기기 때문이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