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원유 쓰는 일본 기름값 안 오르는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명박 대통령이 28일 국무회의에서 기름값 폭등을 두고 “주유소마다 (L당) 2000원이 넘는다는 보도가 있다. 심리적으로 부담이 크다”며 “정부가 방관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받는다”고 말했다. 유가·물가를 담당하는 지식경제부와 기획재정부를 질타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어 “일시적으로 (기름값을) 좀 깎아봐야 조금 지나면 다시 똑같아진다. 일시적으로 얼마 깎으라고 하는 건 무리한 정책”이라고 했다. 지난해 1월 “기름값이 묘하다”고 한 이후 지경부가 정유사를 압박했던 정책이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평가한 셈이다.

 그러곤 디플레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물가를 올리려고 애쓰는 일본을 예로 들며 “같은 원유를 쓰는데 왜 일본은 영향을 받지 않는지, 일본과 우리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 지경부와 재정부가 물가관리를 과학적으로 하는지 살펴보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8개 부처(기획재정·교육과학기술·문화체육관광·농림수산식품·지식경제·고용노동·여성가족·국토해양부) 관련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특히 교육·문화·국토·지경·여성·고용·농식품부가 내놓은 초·중·고 주 5일제 전면 시행 대책에 대해선 ‘퇴짜’를 놓았다. 그는 “집에 가도 할 일이 없고, 반겨줄 이도 갈 데도 없는 아이들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데 이러려면 상당히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계획을 재수립해 다시 보고하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또 “선거다 뭐다 위축되지 말고 할 일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생활과 밀접한 정책에서 국민을 불편하고 짜증나게 하고 있는 건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며 “(물가가) 오르는 것도 짜증나는데 불편하게 해 두 번 짜증나게 해서야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