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 없는 클러스터시스템 국내 첫 개발

중앙일보

입력

하드디스크와 플로피 디스크, CD롬 등이 없이 1대의 컴퓨터로 여러 대의 PC를 제어할 수 있는 ''클러스터 시스템''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개발됐다.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총장 양승택) 공학부 유찬수 교수팀은 지난 98년부터 ''초고속 정수연산 처리시스템''이라는 국책연구를 통해 최근 하드디스크 등 디스크가 내장되지 않은 24대의 PC를 1대의 대용량 RAID시스템으로 부팅에서 종료까지 할 수 있는 클러스터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RAID시스템은 저가의 디스크를 여러 개 배열해 구성한 보조기억장치로 중대형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로 많이 사용되며 기존의 보조기억장치에 비해 더 큰 용량을 저렴한 가격에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클러스트 시스템이 대용량의 RAID시스템과 24대의 PC가 연결돼 있으며 RAID시스템은 네트워크화 된 각 PC의 기동과 종료, 프로그램 수행, 모니터링 등을 원격 처리, 시스템의 신뢰성과 성능, 편의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유 교수는 또한 기존의 대규모 클러스터들이 실수연산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고가의 알파 프로세서를 장착한 반면 이 시스템은 알파 프로세서보다 가격 대비 성능에서 우수한 인텔 펜티엄Ⅲ 프로세서들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한 PC에 2개의 펜티엄Ⅲ가 장착된 2-way SMP(2개 이상의 처리장치가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 동시에 여러 개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를 사용, 좁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도록 했으며 시스템에 대한 성능 평가 결과, 프로세서 수에 비례하는 처리성능 증가와 수행시간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유 교수는 "앞으로 클러스터시스템에 특정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추가하거나 업그레이드 작업이 필요한 경우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PC에 대해 동일한 작업을 반복할 필요가 없게 됐다"며 "특히 잦은 고장의 원인인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지 않아도 돼 보다 안정적인 클러스터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