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채용시 연구·산업계 활동경력 반영

중앙일보

입력

정부는 대학들이 교수를 채용하거나 업적을 평가 할 때에 연구 및 산업현장의 활동경력과 전문성 등을 반영할 계획이다.

2일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학.연.산 상호파견을 통해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3대 주요 추진방안을 마련, 지난 달 30일 교육부장관을 의장으로 한 인력자원개발회의를 거쳐 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학.연.산 인력교류 활성화를 위한 전문경력 순환기능 확대와 관련, 앞으로 교수의 채용 및 업적평가시에 연구 및 산업현장의 활동경력과 전문성 등이 반영되도록 교육부에 건의했다.

특히 교수 채용시에는 연구경력 5년 이상자인 중견인력을 채용할 수 있게 개방형 임용제도를 도입토록 유도해 나가고, 이공계 국내 박사후 과정자(Post-doc.)의 30% 이상을 산업계와 연구기관에서 연수토록 할 계획이다.

또 인력교류 지원을 위한 파견협동연구 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선 고려대 교수 6명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 3명이 각각 상대방에 1년간 파견돼 첨단 신소재 원천기술개발분야에서 연구하도록 시범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교육부 등과 함께 오는 12월중 인력교류 실태조사반을 가동할 계획이다.

그런데 낮은 교수확보율, 연구실 유지문제 및 학생지도 공백, 복귀시의 인사상 불이익으로 대학에서 연구소로의 교류가 미흡한 것을 비롯 학계와 산업계, 연구분야와 산업계 간의 교류가 사회구조적.제도적으로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실정이었다.

실제로 지난 86~98년중 국내 대학에서 연구소로 인력이동한 경우는 한건도 없었고 연구소에서 대학으로 이동한 사람만 378명을 보였는데 상호 교류가 활발한 북유럽의 스웨덴에서는 지난 94~95년 대학에서 연구소로 이동한 예가 1천405명, 연구소에서 대학으로 이동한 경우가 165명에 달한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황창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