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일본업계, 인터넷 새기준 잇단 추진

중앙일보

입력

미국의 e-메일 마케팅 회사들이 사생활 보호를 위한 인터넷의 기준을 마련하고 후지쓰(富士通) 등 일본 회사들도 인터넷 프로토콜(IP)주소를 확대하는 등 새로운 기준을 잇따라 추진하고 있다.

미국 업체들이 25일 발표한 새 기준은 개인정보 누출과 일명 `스팸메일'이라 불리는 원하지 않은 e-메일이 폭주하는 것을 막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새로운 기준은 온라인 개인정보 수집에 대해 미연방공정거래위원회(FTC)가 적용하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고 책임전자통신연맹(RECA)의 크리스토퍼 울프 회장이 밝혔다.

`더블 클릭'과 `24/7 미디어'를 포함한 16개 온라인 마케팅사가 소속된 연맹의 회장인 그는 "이번 기준 제안은 소비자들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새 기준은 소비자에게 메일 수신 선택의 폭을 확대해 주고 소비자가 서명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 명백하고 뚜렷한 통지를 해 준다"면서 또 "어떠한 메일수신 대상에 포함돼 있다 하더라도 소비자가 이를 즉시 삭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업체들이 만든 기준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터넷 이용 과정에서 사생활 보호와 통보, 접속 및 선택 등에 대한 확고한 기준을 단계적으로 설정하는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일본 후지쓰와 IBM 재팬은 인터넷 주소를 대량으로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IP주소를 상용화 하기로 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26일자로 보도했다.

이들 회사는 IP주소 자리수를 최대 32개로 확대해 TV 또는 기타 디지털 가전제품에서 인터넷 접속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일본 회사들은 향후 2-3년 내 실행할 목표를 잡고 우정성과 협력해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다음달 민.관 합작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한편 싱가포르 정보통신부도 25일 관료 회의에서 아시아가 세계적인 `신경제'추세를 따라잡기 위해 새로운 인터넷 기준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면서 네트워크의 세계화에 대비해 각국이 고유의 기술적 언어와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워싱턴.도쿄 AP=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