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기술센터 3월 만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기업의 환경기술 수준을 평가하고 그와 관련한 연구개발(R&D) 정책을 총괄하는 녹색기술센터가 올 3월 설립된다. 또 2월 임시국회에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법안이 상정된다. 법안은 현재 국회 기후변화대응·녹색성장특위 법안소위만 통과한 상태로 특위 전체회의-법사위-본회의란 세 절차가 남아 있다.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는 26일 이 같은 골자로 이명박 대통령에게 새해 업무보고를 했다. 정부가 설립할 녹색기술센터는 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에서 처음 제안한 이후 9개월 만에 설립되는 셈이다. 앞으로 국가 녹색기술 R&D 정책을 수립·추진하는 과정에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녹색위·교육과학기술부·지식경제부·환경부 등 주요 부처의 업무를 지원하게 된다.

 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너지기술연구원 등 연구기관 간 연계를 담당하고 해외 기관과의 협력과 인재 교류도 맡는다. 특히 올해엔 2009년 선정했던 ‘중점 녹색기술’을 시장 상황에 맞게 업그레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한다. 지금은 실리콘계 태양전지와 고효율 저공해 수계수질관리, 가상현실, 수소 에너지, 도시재생, 바이오에너지, 지능형 교통물류 등 27개 분야가 지정돼 있다. 녹색위는 여기에 풍력에너지 기술을 추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법안과 관련해 안경률(한나라당) 국회 특위 위원장은 “배출권 거래제가 여야 합의로 소위를 통과했다”며 “국회가 언제 제대로 열리느냐가 관건이지만 이 법안만큼은 초당적 협력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 밖에 올해부터 458개 업체를 대상으로 시행되는 온실가스·에너지 목표 관리제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올해 중 부처별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정해 평가하는 ‘부처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관리제’를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많은 분이 다음 정부에서도 녹색성장이 잘될 것인가 걱정하는데 나는 걱정 안 한다”며 “앞으로 40∼50년 지나면 석탄·석유의 시대가 끝나고 새로운 에너지의 시대가 녹색성장을 통해 만들어가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녹색성장은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가 당면한 과제며, 50∼100년 이상 지속될 과제”라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