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월 걸린 증선위 CNK 조사 … 정태근 ‘뒤에 박영준 있다’ 주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태근 의원(左), 박영준 전 차관(右)

지난해 10월 6일 국회 정무위원회 회의실 국정감사장.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증인석에 앉았다. 여야 모두로부터 박 전 차관에 대한 공격이 시작됐다. 카메룬 다이아몬드 개발업체 CNK 의 주가 조작 의혹의 배후에 박 전 차관이 있다는 게 핵심이었다.

 이보다 앞선 9월 29일 지식경제위 국정 감사장. 한나라당 정태근(현 무소속) 의원은 “CNK가 발표한 다이아몬드 매장량 7억3000만 캐럿 주장은 근거가 없어 사기에 가깝다”고 했다. 정치권에 CNK 논란을 불 지핀 사람은 당시 여당의 정태근 의원이었다. CNK 주가조작 논란은 처음부터 ‘권력갈등’ 성격으로 출발했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정 의원은 정두언(한나라당) 의원과 함께 정권 초기부터 실세로 부상한 이상득 의원의 보좌관 출신인 박 전 차관과 각을 세워왔다.

 두 사람의 대립과 관계없이 18일 증권선물위원회는 ‘박영준 전 차관의 주식 매매 혐의는 없다’고 발표했다. 감사원도 이달 말 비슷한 조사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정 의원이 다시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증선위가 CNK 조사를 지난해 3월에 시작했는데 어떻게 10개월이 걸리나. 조그마한 회사를 조사하는 데 왜 그렇게 늦어졌는지 증선위는 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발 더 나아가 “가장 중요한 것은 오덕균 CNK 대표가 자기 주변에는 박영준이 있다고 이야기했다는 점”이라며 “ 조속히 수사가 안 되고 지연되는 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힘이 작용한 것 같고, 그 힘은 박영준이라는 게 내 심증”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박 전 차관은 “나에 대한 정치적 공세다. 금융당국과 감사원이 모든 면에서 다 밝혀줄 것이다. 근거 없이 그런 식으로 얘기하면 저도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조치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박 전 차관은 또 “자원외교를 위해 해외에 나갈 때마다 ‘이 정권이 끝나면 검찰수사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투명하게 행동했다”며 “제가 뒷구멍으로 (주식 투자를) 했다면 인간이 아니다”고도 말했다.

조현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