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지자체 귀성객들에 담배 팔기 총력전

중앙일보

입력

농촌 지자체들이 추석을 맞아 고향을 찾아오는 귀성객들에게 담배를 팔기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다.

담배소비세가 지방세 수입의 40~5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은데다, 한보루 (1만4천원~1만6천원) 를 팔때마다 4천6백원씩이 세수로 잡히기 때문이다.

담배소비세가 전체 군세의 51.4%나 되는 전북 무주군은 이달 4~28일을 담배 팔아주기 운동기간으로 정하고 4천6백만원의 세수입 목표까지 세웠다.

무주군은 '내고향 담배 선물하기' '출향민 내고장 담배 사가기' 캠페인을을 벌이기로 하고 각 기관.단체장과 이장 등에게 협조공문을 발송했다.

부안군은 '내고향 담배를 사 피는 것이 애향의 시작' 이라는 플래카드를 제작, 13개 읍.면의 입구에 내 걸기로 했다.

또 추석연휴 중에는 군 전체 5백여개 마을방송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홍보할 예정이다. 변산.격포.모항 등 관광지 주변에는 임시 소매점도 열 방침이다.

그동안 시.군들은 세수 증대를 위해 출향인사를 찾아 원정판매를 벌여왔지만 지난해 정부가 담배를 지역 외로 유출.판매하는 것은 불법이라며 지자체활동에 제동을 걸었다.

그러나 명절 연휴기간 고향을 찾은 사람들에게 담배를 판매할 경우 이같은 문제로 고민할 필요할 없다.

하지만 지자체들의 '내고향 담배 사주기 운동' 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지방재정의 어려움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공공단체가 건강에 유해한 담배를 애향심과 연결시켜 판촉한다는 것은 재고해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전주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