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 이슈] "영토 보전" 일본선 1953년부터 섬 지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전국 유인도의 60%인 262개가 위치한 전남의 섬 주민 중 상당수는 심각한 식수난을 겪고 있다. 262곳 중 139곳의 주민이 급수 탱크에 빗물을 저장해 생활한다. 31곳에는 전화가 가설돼 있지 않다.

전기 없이 생활하는 섬도 세 곳. 전기나 전화 없이 생활하는 보성군 오동도나 신안군 외안도.소포작도에는 한두 가구씩만 살고 있다. 신안군 도서개발과 최철재 계장은 "생활환경이 나쁜 소규모 섬은 몇 년 안에 무인도로 변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전망=전국에서 인구 50인 미만 섬은 1984년 133개에서 94년 157개, 지난해 172개로 늘었다. 이 중 마을을 이루기도 힘든 10명 이하가 거주하는 섬이 64개, 한 사람만 거주하는 섬도 9개다. 이들 섬이 무인도로 바뀌는 것은 시간 문제다. 일부 수도권 지역에선 정반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인천시 옹진군의 섬 인구는 지난 10년 동안 1만 명가량 늘었다. 옹진군 측은 "영흥도 연육과 드라마 세트장 유치 등 관광산업 개발로 귀도(歸島)민이 늘어난 덕분"이라고 말했다.

국토연구원의 황성수 연구원은 "수도권처럼 시장성이 있는 섬 지역은 인구 U턴 현상도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목포대 신순호(지리학) 교수는 "육지와 먼 도서의 경우 교육.문화적인 소외가 더 심해지고 있기 때문에 인구감소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책=일본은 시마네현 본토에서 80㎞ 떨어진 오키군도 도고 섬에 68년 경비행장을 건설했고 현재 제트기 운항이 가능하도록 공항을 확장하고 있다. 농.임업 등 섬 주민의 소득 확대를 위한 산업진흥에도 매년 2000억원 이상을 쓴다. 그 결과 70년만 해도 울릉도 인구가 도고 섬보다 많았지만 현재 도고 섬 인구는 울릉도의 두 배에 이른다.

일본은 53년부터 섬의 영토적 보전과 경제 개발을 위한 이도진흥법(離島振興法)을 제정하고 본격적인 도서 개발에 나선 데 반해 우리는 33년 늦은 86년에야 도서개발촉진법을 제정했다. 그나마 행정자치부 사무관 한 명이 전국의 400여개 섬 개발업무를 총괄하는 실정이다. 목포대 박종철 교수는 "이도진흥법에 비해 우리의 도서개발촉진법은 생색내기 수준"이라며 "보전과 개발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통합관리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행자부 관계자는 "주민들이 안정적인 소득을 올려 섬을 떠나지 않게 하는 종합관리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