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 수술 후 관리도 중요하다

중앙일보

입력

마산무룹병원 정운화 원장

퇴행성 관절염은 노화가 대표적 원인이다. 나이가 들면 뼈와 뼈 사이 완충 역할을 하는 연골이 닳아 쿠션과 같은 기능을 상실한다. 이처럼 연골이 마모되면 뼈와 뼈가 부딪혀 통증을 느끼게 되고, 각종 염증으로 인해 해당 부위가 붓거나 뜨거운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관절염의 치료는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 등 기존 관절을 지킬 수 있는 보존적 치료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심해지면, 통증이 발생한 관절부위에 초소형 카메라가 달린 관절내시경을 넣어 손상부위를 확인하고 치료하는 관절내시경 수술, 손상된 관절에 인공관절을 넣는 인공관절 수술 등 수술적 치료를 통해 쓸모 없는 관절 조직을 없애는 방법을 택하게 된다. 관절염 초기에 약물치료나 운동에 임했더라면 수술로 인한 고통과 경제적 부담을 피할 수 있었을 텐데, 민간요법으로 인해 치료 적기를 놓치고 질환이 심각해져 수술을 할 수밖에 없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퇴행성 관절염으로 근 10년을 고생하다가, 최근 인공관절 수술을 앞두고 있는 60대 중반 김모씨. 가까운 슈퍼를 갈 때는 물론이고, 심지어 밤에 잠을 잘 때도 심한 통증이 있어 결국 수술을 결심하게 됐다. 김씨는 수술 받은 후 통증이 없어진 사람도 있지만, 수술 후 경과가 좋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며 수술 후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한다.

김모씨와 같이 관절염 수술을 하는 분들은 대부분 비슷한 고민을 하는데, 관절염은 수술 전후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경과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김씨의 경우와 같이 퇴행성 관절염 환자는 대개 60세가 넘은 환자들로 70대인 경우도 있다. 이처럼 고령이더라도 전신 마취를 하지 않기 때문에, 수술을 하더라도 큰 문제 없으며 성공률 또한 높으니 안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을 하기 전에 관절 기능이 나쁘면 나쁠수록 수술 후 경과도 좋지 않다. 또한 비만이거나 물리치료를 열심히 하지 않는 환자들도 수술 후 정상적으로 걷는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환자가 회복에 대한 의지가 있고, 꾸준한 운동과 물리치료를 병행한다면, 대부분 수술 후 몇 개월 안에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수술 후 지속적으로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의 운동을 병행하여 약해진 무릎관절을 단련시키는 것이 좋으나,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관절에 악영향이 될 수 있으므로 적당한 강도의 운동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적당한 강도의 운동과 물리치료 외에 수술 후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바로 통증관리이다. 인공관절 수술은 정형외과 영역의 가장 성공적인 수술 중 하나이나, 또한 가장 아픈 수술이기도 하다. 따라서 수술 후에 통증을 조절하지 못할 경우, 환자는 극심한 고통에 시달릴 수 있으며, 통증조절을 위해 오래 입원하다 보면 의료비가 증가하고 재활 및 일상으로 복귀하는 시간이 늦어지게 된다. 또한 극한 통증으로 수면장애가 발생하기도 하며, 이는 통증을 겪는 환자의 고통뿐 아니라 곁에서 간호하는 보호자의 불안감 또한 증가시킨다.

이처럼 수술 후에 찾아오는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수술 전에 복용하던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통증조절에 도움을 준다. 간혹 수술 후에 약을 먹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환자들이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이다. 관절염 환자의 경우 염증을 완화시키는 소염작용과 통증을 줄여주는 진통작용을 모두 갖춘 소염진통제를 복용한다. 특히 관절염 치료에 쓰이는 쎄레브렉스(성분명: 쎄레콕시브)의 경우, 수술 전후에 복용한다면 수술 이후 나타나는 급성 통증을 완화시킬 뿐 아니라 마약성분이 포함된 진통제 사용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마약성 진통제로 인한 이상반응도 감소시키며, 수술 중의 출혈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전 및 수술 후에도 위와 같은 소염진통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은 수술로 인한 급성통증조절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심각한 심폐합병증, 위장관계 합병증의 감소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의 불안감도 덜어낼 수 있다.

인공관절수술 후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술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되었는가도 중요하지만 수술 전후 관리도 중요하다. 처음 수술을 받은 후엔 대부분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꾸준한 운동으로 이를 완화하고, 의사와 적극적인 상담을 통해 수술 전후 지속적으로 소염진통제를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밖에 회복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사고, 적극적인 생활습관 개선노력이 더해진다면 충분히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