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시영 용적률 올려 재건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서울 송파구 송파역에 인접한 가락동 가락시영아파트에 최고 35층 높이의 아파트 8903 가구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7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가락동 479번지 일대 40만5782.4㎡에 대한 재건축 계획안을 통과시켰다고 8일 밝혔다.

 시는 주민들이 신청한 대로 정비구역 용도를 2종에서 3종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용적률은 285%, 건폐율은 14.15%가 적용된다. 강남 3구를 투기지역에서 해제한 정부의 ‘12·7 부동산 대책’에 이어 서울시도 이날 가락시영아파트에 대해 용적률을 높여주면서 강남권 재건축 사업은 새로운 활기를 찾을 전망이다.

 서울시의 이번 결정은 박원순 시장의 공약인 임대주택 8만 호 달성을 위해서는 재건축 단지의 용적률을 높여 사업성을 확보해줄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가락시영아파트는 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재건축을 추진해오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사업성이 떨어지자 3종으로 종 상향을 요구해 왔다. 주민들의 요구가 수용됨에 따라 가락시영은 기존 계획보다 모두 1542가구가 늘어난다. 종 상향에 따라 공공임대주택은 959가구가 늘어난다.

 김효수 서울시 주택본부장는 “지역별 상황이 다르긴 하지만 대규모 저층 단지라 하더라도 공공성이 확보되면 2종에서 3종으로 종 상향 조정이 가능한 만큼 앞으로 유사 사례가 많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의 이 같은 입장에 따라 둔촌주공·고덕주공·잠실주공5단지 등 인근 재건축 단지들도 사업성을 높여달라는 요구를 하고 나설 전망이다. 비슷한 시기에 2종 지구로 구분됐던 둔촌주공아파트 조합은 10일 종 상향을 골자로 한 재건축 계획 변경안에 대한 총회를 개최하고, 내년 상반기 지구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권순형 J&K 부동산연구소장은 “연이틀 발표된 강남권 규제완화 소식은 정부가 임대주택 건립 수를 확보하는 등 공공성은 확보하면서 적극적 인센티브를 주겠다는 신호여서 앞으로 재건축 단지들이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창희·권영은 기자

◆종(種) 상향=1, 2, 3 종으로 구분된 주거지역 구분. 종이 높을수록 용적률과 층수가 달라져 더 많은 아파트를 지을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