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에서 돌격 버튼 누른 홍준표…본회의 의사봉 총대 멘 정의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홍준표 대표(左), 정의화 국회부의장(右)

“본회의장으로.” 22일 마이크를 잡고 돌격 명령을 내린 사람은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였다. 그러나 뒤에서 돌격 버튼을 누른 사람은 홍준표 대표였다. 홍 대표는 21일 오후 5시30분 황우여 원내대표와 이명규 원내수석부대표를 당대표실로 불렀다.

그는 황 원내대표에게 “23일부터 민주당과 민노당 의원들의 보좌관들이 국회 본회의장 앞의 로텐더홀을 점거한다는 정보가 있다. 어떻게 하면 좋겠느냐”고 물었다. 그동안 협의 처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이를 추진해 왔던 황 원내대표는 망설였다. 논의 끝에 홍 대표는 “내일(22일) 마침 예산 관련 의총이 예정돼 있으니 의총 직후 처리하자”고 설득했다.

황 원내대표는 고민 끝에 22일 오전 11시에 김진표 원내대표를 찾아가 ‘마지막 확인’ 작업에 나섰다. 황 원내대표의 한 측근은 “김 원내대표와 만난 후 이젠 합의 처리는 불가능하고 몸싸움을 최소화하는 길밖에 남지 않았다는 결심을 굳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통을 이어받은 건 박희태 국회의장과 정의화 부의장이었다. 박 의장은 한나라당 의원들이 본회의장으로 들어오기 직전인 오후 3시5분을 기점으로 경호권을 발동했다. 실제 처리는 정의화 부의장이 ‘총대’를 멨다. 정 부의장은 오후 3시15분에 입장해 단상에 앉았다. 그는 지난해 예산안을 강행 처리한 데 이어 이번에도 한·미 FTA 비준안 처리를 이끌었다.

이 같은 한나라당의 ‘작전’ 과정에 청와대는 개입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4일까지 처리되는 게 낫다는 입장이긴 했지만 D데이는 몰랐다. 김효재 정무수석도 몰랐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도 동남아시아 순방에서 이날 오후 귀국해 한나라당이 FTA 비준 절차에 돌입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한다.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 대통령도 도착해서야 알았다”고 말했다.

김경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