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국대접 크게 달라졌다

중앙일보

입력

중국은 이번 김정일(金正日)총비서의 방중을 계기로 더욱 더 분명한 남북한 등거리 외교 노선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金총비서의 방중과 이후 발표경위 등을 보며 베이징(北京)외교가에는 그런 분석을 내놓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졌다.

중국은 1992년 한국과의 국교 정상화를 통해 이미 이같은 등거리 외교의 입장을 취해 왔다.
그러나 이번 金총비서를 맞는 모습에서 중국의 그런 태도가 더욱 확연해졌다는 것이다.

金총비서.장쩌민(江澤民)주석간의 대화 내용이 아직은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소식통들에 따르면 江주석은 金총비서에게 "한국도 경제적으로 중국에 매우 중요하다" 며 중국이 왜 한국을 중시하지 않을 수 없는지에 대해 분명히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江주석의 이같은 언급은 대화 전후 맥락과 관계없이 중국은 이미 동반자의 지위에 오른 한국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으며 과거처럼 일방적으로 북한을 지원하기 곤란하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중국이 金총비서의 방중과 관련해 응당 비상한 관심을 가질 한국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고, 배려한 흔적이 곳곳에서 발견되는 점도 이전과는 확연하게 구별된다.

중국측은 金총비서가 중국을 떠난 이튿날인 1일 오전과 오후 두차례나 권병현(權丙鉉)한국대사를 만나 金총비서의 방중 활동을 설명하는 성의를 보였다.
중국은 특히 金총비서의 방중을 주요국인 한국과 미국.일본 3개국에만 설명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이 3개국 중 한국의 대사를 가장 먼저 불렀다는 것이다.

한국에 대한 설명은 외교부의 양원창(楊文昌)부부장(차관)이 맡은 반면 미.일측엔 외교부 아주국 부국장급이 설명, 격을 달리한 점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중국은 또 이번 金총비서 방중 사실을 과거처럼 비공개로도 할 수 있었으나 이같은 조치는 이젠 동반자 관계로 올라선 한국을 대하는 태도가 아니라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즉 이미 등거리 외교로 나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북한과의 비밀외교를 유지하고 있다는 정치.외교적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金총비서가 떠나게 된 시점을 택해 세계에 金총비서 방중을 전면 공표했다는 해석들이다.

일부에선 중국이 지난 4월 말 중국을 방문한 이정빈(李廷彬)외교통상부장관에게 金총비서의 방중을 귀띔했다는 보도마저 나오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