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블랙아웃] 전력거래소 임원 절반, 전기실무 깜깜한 낙하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전 대란을 둘러싸고 책임 공방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전력거래소의 독특한 임원 구성이 눈길을 끌고 있다.

 우선 상임 임원직 세 자리 중 두 자리는 지식경제부 관료 출신이 차지하고 있다. 염명천 이사장과 황의덕 기획본부장은 지식경제부에서 각각 전기위원회 사무국장, 광물자원팀 과장을 맡았다는 인연으로 임원에 임명됐다. 감사(비상임)직은 경기도의회 의원을 지낸 정치권 인사 김인성씨가 맡고 있다. 비상임 이사직도 마찬가지다. 당연직인 최규종 지경부 전력진흥과장 외에 산업자원부(현 지식경제부) 석유산업팀장을 지낸 이학노 비상임 이사가 눈에 띈다. 총 11명의 상임·비상임 임원 중 5명이 지경부나 정치권 출신인 것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지경부(산자부) 출신은 전기와 에너지정책을 다뤄봤다는 점에서 전문성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력거래소 업무 특성상 보다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갖춘 임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발전소 몇 개를 돌리고 몇 개를 정지시킬지, 이번 같은 비상사태에서 신속하게 판단하고 지시를 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경제개혁연구소 위평량 상임연구위원은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공공기관에 실무를 거치지 않은 관료 출신들이 임원진으로 포진한 것은 문제”라며 “이번 정전 사태에서 대응 미숙 논란이 인 것이 이런 낙하산 임원진과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전력산업 관련 공공기관의 낙하산 논란은 이게 처음은 아니다. 지경부는 이달 초 한전 산하 발전회사 경영평가에서 1위에 오른 남호기 남부발전 사장을 교체하고, 2위인 장도수 남동발전 사장과 3위인 한국동서발전 이길구 사장을 유임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은 이를 “진흙탕 인사”라고 비판하며 “ 이 사장을 연임시키려는 것은 청와대 특정 인사가 이 사장과 같은 대구·경북 지역 대학 출신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임미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